X

‘코로나19 여파’ 2월 전국 분양실적 36% 그쳐

박민 기자I 2020.03.12 12:22:02

전국 곳곳에서 분양 일정 차질
분양 물량 이 달로 연기되면서
3월 2만5308가구..전년比 2.3배↑

[이데일리 박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지난달 전국 아파트 분양 실적이 당초 계획 대비 3분의 1 수준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시 이달로 예정한 분양 일정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2월 전국 분양 실적은 5064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계획물량(1만3789가구, 아파트 일반분양가구 기준)의 36.7% 수준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코로나 사태로 건설사와 분양업무를 하는 회사들이 관련 회사 등이 분양 업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지자체들도 분양승인에 대해 신중해 하는 등 일정이 순연된 곳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지난달 예정했던 분양 물량이 이달로 미뤄지면서 3월 전국 분양 예정 물량은 2만5308가구로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1만821가구)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9039가구 △지방광역시 7956가구 △지방도시 8043가구 등이다. 이 중 이달초부터 지금껏 4300가구가 분양을 진행했고, 2만1000여 가구가 분양일정을 남겨두고 있다.

주요 분양 단지로는 서울에서는 강서구 ‘마곡 9단지’, 서초구 ‘르엘 신반포’ 등이 있다. 경기 수원 ‘영통자이’, 인천 ‘힐스테이트 부평’ 등의 수도권 물량도 분양 대기중이다. 지방에서는 부산 ‘쌍용 더 플래티넘 해운대’, 대구 ‘힐스테이트 도원 센트럴’, 강원 ‘속초디오션자이’ 등이 있다.

권 팀장은 “코로나 확산 추세에 건설사들도 현장 모델하우스 대신 사이버모델하우스로 대체하고 일정을 소화하려는 움직임이 많다”며 “예비청약자들도 온라인상의 정보들만으로 청약에 나서는 이들이 많아지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SH공사는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서 마곡지구 9단지를 분양한다. 총 962가구(전용면적 59~84㎡) 규모다. 5호선 마곡나루역, 송정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으며 10년 전매제한이나 의무 거주기간이 없습니다. 공공분양이라 청약가점제가 아닌 무주택 3년 이상, 통장가입 기간 2년 이상인 청약자들 가운데 청약통장 납입 금액이 많은 순으로 당첨자가 결정된다.

롯데건설은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14차 아파트를 헐고 짓는 ‘르엘 신반포’를 분양한다. 총 280가구 규모며 이중 67가구가 일반분양분이다. 지하철 3호선, 7호선, 9호선 환승역인 고속터미널역 역세권이다. 반원초교가 가깝고 한강시민공원 반포지구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GS건설은 경기 수원시 영통동에 짓는 ‘영통자이’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59~75㎡, 총 653가구 규모다. 단지 인근에 인덕원~동탄복선전철(2026년 예정) 서천역(가칭)이 개통 예정이다. 영통지구, 동탄신도시가 인접하며 이마트트레이더스, 빅마켓, 홈플러스 등의 대형 상업시설과 분당선 망포역 주변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현대건설은 인천 부평구 십정동 백운2구역을 재개발 해 짓는 힐스테이트 부평을 분양한다. 총 1409가구 중 837가구가 일반분양분이다. 수도권전철 1호선 백운역 역세권으로 서울역, 용산역 등 서울 도심으로 이동하기 쉽다. 백운초, 부평서여중, 부광고, 인천제일고 등의 학교가 모두 도보권이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