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급락하던 태양광 모듈 가격하락 멈췄다…단기 바닥론 솔솔

김경은 기자I 2024.04.01 15:03:44

최근 2개월 연속 가격 보합세
중국 태양광 업체 저가공세 유탄…대규모 감원
업계 "하반기 이후 가격 회복 전망"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지난해 급락세를 나타냈던 태양광 모듈 가격 하락세가 멈췄다. 중국 태양광 업체 구조조정과 미국의 정책 효과 등으로 횡보 후 하반기 상승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사진=이데일리DB
태양광 시장 조사업체 PV 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모듈 평균 가격은 와트당(Wp) 당 0.1달러로 최근 2개월 연속 같은 가격을 유지했다. 지난 2022년 4분기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지난 한해만 50~60% 가격 하락을 나타냈던 모듈 가격이 보합세를 유지하면서 단기 바닥론이 나온다.

태양광 밸류 체인 가격 하락세가 진정 국면에 접어든 것은 세계 1위 태양광 업체인 룽지(隆基·Longi) 그린에너지가 구조조정에 나서며 중국산 저가 공세에 제동이 걸려서다.

블룸버그는 최근 룽지 그린에너지가 전체 직원의 최대 30%를 감원하는 대규모 정리해고를 단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룽지그린에너지는 감원 규모가 30%가 아닌 5%에 불과하다고 반박하면서도 성명을 통해 “태양광 섹터는 점점 더 경쟁적인 환경에 직면해 있다“며 “시장 변화에 적응하고 조직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력을 최적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룽지그린에너지를 비롯해 중국의 세컨 티어 이하 그룹에서도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중국 구조조정은 태양광 제품이 원가 이하에 팔리면서 저가 공세의 유탄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태양광 과잉생산 여파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반적으로 생산능력 조정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여전히 수요를 능가하는 글로벌 생산능력 탓이다. 이에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중국 정부에 태양광 패널과 전기자동차 등 청정 에너지 산업에 대한 보조금과 과잉생산 문제에 대해 경고했다. 옐런 장관은 이날 조지아주에 위치한 태양광 업체 방문에 앞서 배포한 연설문에서 “중국의 생산 과잉이 국제 가격과 생산 질서를 왜곡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미국 뿐 아니라 전세계 노동자와 기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국내 업체에 주요한 미국 태양광 모듈 시장은 중국산의 우회 통로로 지목된 동남아산 모듈에 대해 반덤핑·상계관세가 부과되는 6월까지 재고 누적 효과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저가 중국산 제품 설치량이 소화된 이후 하반기로 가면 모듈 가격이 회복될 것이란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 환경에 따라 중국 제조기업 발 공급과잉 기조와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을 중심으로 전세계 모듈 가격(판가) 역시 일부 회복될 것으로 보고있다”고 전했다.

함형도 신한투자증권 책임연구원은 “2011년 이후 태양광 모듈 가격은 중국의 공급과잉으로 장기 우하향하고 있어 공급과잉 이슈는 유효하다”면서도 “춘절 등 계절적 요인이 종료되고 봄, 여름에 수요가 집중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가격이 추가 하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