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내일 '철도파업' 대비…서울지하철 1·3·4호선 증회 추진

양희동 기자I 2023.09.13 16:46:52

철도노조 14~18일 파업…서울시, 비상수송대책 시행
코레일 운영 광역전철 운영구간 증회 운행
평소대비 18회 증회 운행…비상열차 대기 투입
하루 3만6000명 추가수송력 확보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서울시가 14일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 파업에 대비해 시민 대중교통 불편 최소화를 위한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철도노조 파업이 14일부터 18일까지 닷새간 시행 예고됨에 따라, 이 기간 조속하게 대중교통 운영 지원에 돌입한다는 설명이다.

(자료=서울시)
서울교통공사는 코레일 파업으로 수도권 광역전철 운행률도 감소하는 만큼 광역 간 이동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레일과 공동 운행하는 1·3·4호선의 운행 횟수를 평소 대비 18회 증회한다. 또 비상열차 4편성을 대기하는 등 수송력 확보를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교통공사가 증회운행하는 구간은 △(1호선) 서울역~청량리 △(3호선) 구파발~오금 △(4호선) 당고개~사당 구간 등이다. 증회 운행으로 하루 3만 6000명의 추가수송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1~8호선, 서울시 민자철도 9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은 모두 정상 운행한다.

서울 시내버스의 경우 광역노선 및 인천·경기를 경유하는 간선 버스 수요를 집중 모니터링한다. 또 수요증가로 혼잡이 가중될 경우 출·퇴근 집중배차시간대 연장 운행 및 증차 등 탄력적으로 운행을 지원할 예정이다. 평소 집중배차시간대는 출근 오전 7~9시, 퇴근 오후 6~8시 등이다. 출·퇴근시간 모두 집중배차시간대를 30분씩 연장할 경우, 하루 4만 1000명, 60분씩 연장 시 8만 4000명 추가 수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서울시는 파업 전날인 이날부터 정부합동비상수송대책 본부에 참여 중이다. 또 파업 종료 시까지 지하철 지연 및 혼잡 상황 등을 신속하게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 또타앱 및 토피스 홈페이지에서 교통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파업 종료 시 까지 지하철 수송력 확보 및 증회 운영 지원 등 대책 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철도노조 파업

- “철도노조, 실체없는 민영화 허상에 반대하는것…국민비판 직면” - 철도파업, 내일 출근길이 마지막 고비…2차 파업은 미정 - '몸집 줄어들라' 민영화 앞세운 정치파업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