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 싸움’ BMW·벤츠, 4위 노리는 렉서스…수입차 순위 경쟁 뜨겁네

이다원 기자I 2024.06.05 17:49:11

BMW, 한 달만에 1위 탈환
인기 모델 신차 출시하며 경쟁
테슬라, 조용한 강자로 올라서
볼보-렉서스 ''한 자리'' 싸움 치열
車 시장 위축에…하반기 마케팅↑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국내 완성차 시장에서 수입 브랜드 간 순위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1위 자리를 놓고 독일 완성차 브랜드 두 곳이 맞붙은 가운데, 볼보와 렉서스도 한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어서다. 조용한 강자로 떠오른 테슬라까지 합류하면서 수입차 시장의 경쟁도 점차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BMW 뉴 5시리즈.(사진=BMW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 뉴 E-클래스. (사진=메르세데스-벤츠)
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1~5월 누적 기준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 1위 브랜드는 BMW로 나타났다. BMW는 지난달까지 총 2만8958대의 차를 팔아치우며 1위 자리를 지켰다. 이어진 2위는 메르세데스-벤츠다. 메르세데스-벤츠는 1~5월 2만3350대의 차를 판매했다.

수입차 1위 자리를 놓고 BMW와 메르세데스-벤츠의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BMW는 지난해 8년 만에 연간 수입차 최다 판매를 기록하며 1위 자리에 오른 바 있다. 이어 올해 3월까지도 월간 신규등록 최다 브랜드 자리를 유지하다, 지난 4월 메르세데스-벤츠에 자리를 잠시 내줬다. 그러다 지난달 BMW가 6240대를, 메르세데스-벤츠가 5947대를 각각 판매하며 BMW가 1위를 재탈환했다.

양 사는 한국 시장에 인기 모델 신차를 공급하며 판매량 제고를 노리고 있다. BMW는 지난해 11월 한국에서 전 세계 최초로 5시리즈 신차를 공개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지난 1월 국내 시장 ‘맞춤형’ E-클래스 11세대 완전변경 모델을 선보이며 큰 관심이 쏠렸다.

테슬라 모델 Y. (사진=테슬라 코리아)
수입차 누적 판매 3위 자리는 테슬라로 총 1만2087대의 차를 판매했다. 연초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 등이 마련되지 않아 한 달 동안 1대의 차를 판매했던 테슬라는 보조금 지급이 시작된 직후인 지난 3월 6025대를 팔아치우며 ‘깜짝 2위’ 자리에 올랐다. 이어 지난 4월 중형 전기 세단 모델 3의 부분변경 모델 ‘모델 3 하이랜드’를 내놓는 등 S·3·X·Y 전 라인업 모든 트림을 국내에서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있다.

소비자들의 호응도 높은 편이다. 지난 3월 테슬라는 총 5934대의 모델 Y를 판매했고, 지난달에는 테슬라 모델 3를 3542대 판매하며 각각 ‘베스트셀링’ 차에 이름을 올렸다.

4위 경쟁도 치열하다. 안정적인 판매량을 유지 중인 볼보자동차와 지난해부터 반등 흐름을 보이는 렉서스가 맞붙으면서다. 1~5월 누적 기준 볼보 신규등록 대수는 5733대, 렉서스는 5374대로 단 359대 차이가 난다.

연초부터 볼보와 렉서스는 한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1월에는 렉서스가 998대로 볼보(965대)를 앞섰지만 2월에는 볼보가 961대로 렉서스(919대)를 다시 앞지르는 양상을 보이면서다. 3월에는 렉서스가 1218대, 볼보가 1081대를 기록했던 반면 4~5월에는 볼보가 판매량을 소폭 늘리며 다시 한 번 순위가 바뀌었다.

두 브랜드는 하반기에도 치열한 순위 경쟁에 나설 전망이다. 볼보는 콤팩트 전기 SUV ‘EX30’을 이르면 이달 말부터 순차 인도하며 물량을 늘린다. 렉서스는 다목적차량(MPV) ‘LM 500h’를 출시하며 이에 맞선다.

수입차 업계의 판매량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면서 마케팅 역시 달아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판매량에 연연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사실 전 브랜드가 굉장히 신경쓰고 있다”며 “앞으로 신차 출시가 이어지고 물류 상황도 개선되면 순위 경쟁이 거세질 것”이라고 했다.

최근 수입차를 비롯한 국내 완성차 시장은 위축된 상태다. 1~5월 수입 승용차 누적 신규등록 대수는 총 10만352대로 전년 동기(10만3933대)보다 3.4% 감소했다. 국내 완성차 5개사는 지난달 10.3% 감소한 11만6552대의 차를 국내 시장에서 판매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