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文→靑→국정기획위, 신고리 5·6호기 뜨거운 '여론전'

최훈길 기자I 2017.06.29 13:19:47

'원전 공론화' 文 대통령 결정 이후 잇단 브리핑
'비전문가들에 국가대계 떠넘겨' 보도 정면 반박
국정기획위 "효율성→안전으로 시각 조정 필요"
'경총 3단 경고' 비슷..9월까지 뜨거운 여론전

박광온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대변인.[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여권이 신고리 원전 5·6호기 중단 여부와 관련해 연일 공개적으로 입장표명에 나섰다. ‘비전문가들이 공약을 만들거나 국가 대계를 결정한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반박이나 해명에 나선 것이다. 원전 공사를 재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9월까지 여론전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박광온 대변인은 29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브리핑을 통해 신고리 5·6호기 관련해 “에너지 문제는 효율성에서 안전과 국민 생명의 문제로 인식하는 일대 시각 조정이 필요한 시기”라며 “에너지 효율성이 중요하지만 국민 생명보다 중요하지 않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경주 지진으로 인해 국민의 생명, 안전에 대한 우려가 결정적으로 탈핵 정책을 가져온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됐다”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공약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박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의 에너지 공약은 그 계통 분야에서 인정 받는 전문가들이 검토하고 각계 의견을 수렴해서 만들었다”며 “일부 언론에서 이런 결정을 가져오게 된 공약이 비전문가에 의해 수립됐다는 지적이 있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이날 모 언론은 문재인 캠프의 환경·에너지팀에 원자력 전문가가 없었다며 에너지 공약은 환경운동가 한 사람과 미생물학 전공 의대 교수가 관여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박 대변인은 “전 에너지기술평가원장, 전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 등이 고루 참여해 공약을 만들었다”고 반박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관련 입장을 밝힌 뒤 여권은 잇따라 후속 입장을 밝히는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27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국무위원들과 논의 끝에 공사를 잠정중단하고 공론화위원회 등을 통해 9월까지 공사 재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후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은 이날 오후 4시 긴급브리핑을 열고 이 결정을 발표했다.

다음 날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신고리 5·6호기 보도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신고리 5·6호기 관련 책임을 떠넘겨) 비전문적으로 결정하자는 게 아니다”며 “대통령의 고뇌, 우리 사회가 원자력발전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고뇌가 (신고리 5·6호기 공사의) 잠정중단이라는 어려운 결정으로 끌고 가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29일에는 박광온 대변인이 신고리 5·6호기에 대해 입장을 재차 표명한 것이다.

여권 측은 문 대통령이 중시하는 공약에 대해 이같이 집중해 입장을 잇따라 표명해왔다. 앞서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부회장은 지난달 25일 경총포럼 인사말을 통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해 “기업들이 매우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이 알려지자 박광온 대변인은 “지극히 기업적 입장의 편협한 발언”이라고 비판했고, 김진표 국정기획위원장은 “(재벌들이) 압박으로 느낄 땐 느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수현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진지한 성찰과 반성이 먼저 있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발언을 전했다. 당시 업계에선 이를 ‘3단 경고’라고 부를 정도로 여권의 여론전을 의식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 ‘적폐 1호’ 지목된 석유公 사장 “적폐 노조 반성해야”(종합) - 靑, 임기만료 공공기관장 대상으로 순차적 인사 예정 - "朴정부 적폐 기관장 나가라"..노조판 '블랙리스트' 후폭풍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