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AI로 주가조작 전방위 포착”…네이버 만나는 금감원

최훈길 기자I 2023.06.22 18:31:41

하반기 ‘증권불공정거래 통합정보시스템’ 추진
수작업, 오프라인 단속만으론 한계…대책 강구
빅데이터 연계해 24시간 이상징후 온라인 추적
AI 기업 자문 구하기로, 이복현 “입체적 조사 추진”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금융감독당국이 인공지능(AI)에 기반해 주가조작을 전방위로 포착하는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더욱 교묘해지고 있는 주가조작을 정밀 포착하기 위해서다. AI 기술력이 우수한 네이버 등 국내 정보기술(IT) 기업들에 자문을 구하는 등 업계와의 협력 방안도 추진한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감원은 올 하반기에 이같은 ‘증권불공정거래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관련 인력·예산 계획을 짠 뒤 하반기에 시스템 구축 예산을 확보할 것”이라며 “네이버 등 AI 관련 여러 업체들을 만나 자문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23일 기자들과 만나 “올 한해 불공정거래 세력과의 전쟁에 집중할 것”이라며 “저의 거취를 건다는 책임감으로 (주가조작 대응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사진=금융감독원)


해당 시스템은 온·오프라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분석·평가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될 예정이다. 금감원 시장정보분석팀은 불공정거래 관련 시장 정보와 금감원 감독·검사·심사 과정에서 축적한 금융 빅데이터를 연계할 계획이다. 여기에 AI를 접목해 주가조작이 의심되는 정보를 포착·분석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금감원은 온·오프라인에서 전방위로 수집한 정보를 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DB)에 축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강력한 검색 엔진도 탑재할 방침이다. 이는 문서를 일일이 열어보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다. 주가조작 등 의심되는 불공정거래 징후에 대해 선별적으로 자료를 선별하는 기능도 구축할 예정이다.

이같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주식 거래가 급증하면서 의심거래 정황도 늘어나고 있는데, 수작업이나 오프라인 단속만으론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주식거래 활동계좌는 6373만개를 기록, 2013년(1981만개)보다 3배 넘게 급증했다.

하지만 불공정거래 사건을 처리하는 금감원 조사국 인력은 2019년 76명, 2020년 73명, 2021년 68명, 지난해 69명에 그쳤다. 올해는 95명으로 증원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요원이 직접 정보를 수집하는 휴민트(인적 정보)도 중요하지만, 커지는 사이버 환경에서 한정된 인력만으론 한계도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복현 금감원장이 “빅데이터 기반 조사”를 지시하면서, AI 기반 24시간 탐지 시스템이 탄력을 받고 있다. 이 원장은 지난 1일 기자간담회에서 “온라인상에서 특정 (주식 관련) 내용이 많이 올라오면 빅데이터 방식으로 조사 착안 사항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이처럼 좀 더 입체적인 방식으로 (포착·조사)하려고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이 원장은 충분한 예산 확보에 공을 쏟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금감원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와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제보나 조사 정보를 공유하는 ‘조사정보공유시스템’을 이달부터 가동한다. 검찰과 협의해 조사 초기에도 혐의자 출국금지를 하는 조치도 즉각 시행한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22일 거래소에서 손병두 이사장과 만나 증권범죄에 대한 긴밀한 협력, 신속한 수사, 엄중 처벌을 예고했다.

금융위 정책 자문기구인 금융발전심의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사람이 일일이 주가조작단을 쫓아다니면서 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상징후를 실시간 포착하는 IT 시스템이 정말 중요하다”며 “충분한 예산을 투입해 증권범죄를 포착하는 IT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혁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