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 핵전략잠수함 42년 만 한국 기항…캠벨 “핵억제 의지 강조”

박태진 기자I 2023.07.18 17:52:52

[핵협의그룹 첫 회의]
용산 대통령실서 첫 한미 NCG 회의 후 공개
1981년 ‘로버트 리’ 기항 후 처음
한미 정상 ‘워싱턴 선언’ 이행 차원

[이데일리 박태진 송주오 기자] 미국 정부가 18일 미 전략핵잠수함(SSBN)이 42년 만에 부산항에 기항 중이라는 사실을 공개했다. 이는 북한의 핵·미사일 확장 억제를 위한 한미 간 실행 계획 중 가장 눈에 띄는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커트 캠벨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핵협의그룹(NCG) 출범회의 관련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커트 캠벨 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1차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 후 진행한 공동기자회견에서 “현재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핵전략잠수함이 부산항에 기항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 한미정상회담에서 채택된 ‘워싱턴 선언’에 담긴 ‘미 전략핵잠수함의 한국 기항’ 합의 이행 차원으로 보인다.

캠벨 조정관은 “NCG가 출범하면서 범정부 차원의 포괄적 노력이 장기간 진행될 것”이라며 “저희의 이러한 분명한 의지와 공약을 가시적으로 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저희는 믿는다”며 SSBN 기항 배경을 설명했다.

SSBN은 핵 추진 탄도유도탄 잠수함으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해 전략적 임무를 수행한다. 1981년 3월 로버트 리(SSBN 601) 방문이 마지막 한국 기항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캠벨 조정관은 이날 한국에 전개된 SSBN의 세부 기종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그는 “(확장억제에 대한) 저희의 분명한 의지와 공약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워싱턴 선언’이 두 정상의 강력한 의지를 통해 채택됐다”며 “실행을 위해 미국의 대규모 대표단이 왔다는 것은 저희의 확고부동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미국 측은 북핵 도발이 북한 정권의 종말로 이어진다는 결연함을 보여줬고, 우리 측은 이러한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을 전적으로 신뢰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한미 양측은 앞으로 고위급회의와 실무급회의를 분기별로 번갈아 개최, 1년에 총 4번 회의를 열기로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