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민간과 '전기차 배터리' 산업 부흥 맞손

최오현 기자I 2024.06.18 16:00:00

18일 전기차배터리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
민관 공동 협의체 신설…산업 성장 유도
배터리 구독 등 8대 유망 서비스 선정

[이데일리 최오현 기자]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관련 기업과 공동 협의체를 출범하고 관련 산업 육성에 나선다.

서울의 한 전기차 주차장에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환경부는 18일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와 함께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를 열고 민관 공동 협의체를 출범했다. 이 자리에는 임상준 환경부 차관,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 등 부처 관계자와 한국배터리산업협회,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등 민간 기관 및 기업이 참석했다.

정부는 전기차·배터리 생애주기별 서비스(BaaS)를 미래 유망 산업으로 보고, 협의체를 통해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된 이후부터 충전, 정비·교체, 탈거·운송, 재제조·재사용·재활용까지 전 과정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각종 서비스 부흥에 본격 나설 전망이다. 실제 전기차 배터리와 관련된 서비스의 세계 시장 규모는 연평균 21.4%씩 증가 중이지만, 우리나라는 관련 제도 및 비즈니스 모델이 부재한 상태다.

간담회에서는 업계가 직접 선정한 8대 유망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기도 했다. 8대 유망 모델에는 전기차 구매 부담을 낮춰줄 △배터리 구독 및 교체 서비스 △금융 서비스 △배터리 성능 진단 서비스 △탄소 크레딧 거래 서비스 △전력 거래 서비스 등이 포함됐다. 이밖에 △이동형 충전 서비스 △제재조 배터리 진단 및 평가 서비스 △배터리 회수·운송·보관 등 로지스틱스 서비스 등이 꼽혔다.

특히 이동형 충전 서비스의 경우, 전기차 구매를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가 ‘충전 인프라’로 꼽힌 만큼 이를 해소해 소비자 시장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배터리 구독 서비스는 배터리 팩 대여 서비스, 편의점 내 배터리교환 스테이션(BSS)구축 등을 통해 영업용 및 일반 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기대한다.

정부와 업계는 이날 8대 유망 모델을 포함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의 육성 및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민관 공동 협의체는 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장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해결하는 상시 소통창구가 될 전망이다. 또 협의체를 통해 성능평가 및 운송·보관 등 정부와 업계가 공통 기준을 마련하고, 유망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사업 추진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관계부처가 함께 협업형 현장 간담회를 개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환경부는 이동식 전기차 충전서비스와 전기이륜차의 배터리 교환형 충전스테이션 설치 사업 등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기반시설을 확대하고 관련 분야 산업 성장을 유도하겠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