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학부모·교사 모두 대면보다 '문자' 소통 원한다

김윤정 기자I 2024.03.18 15:48:21

서울교육청 교육정보연구원 연구보고서 설문결과
"카톡 통해 부담 없는 소통 원하는 80년대생 학부모들"
"즉각·빈번한 소통, 정제 안 되면 오해·갈등 생길 수도"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초등학생 학부모와 교사 모두 대면 상담보다는 문자메시지를 통한 소통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오후 울산 남구 개운초등학교의 한 교실에서 늘봄학교 도담도담 프로그램에 참가중인 학생들이 전통놀이 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8일 서울시교육청 교육정보연구원의 연구보고서 ‘학부모의 학교참여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에 따르면, 설문조사 결과 학부모가 선호하는 학교와의 소통수단은 문자 41%, 유선 전화 22%, 대면 21% 순이었다.

설문조사는 지난해 10월 서울 소재 초등학교 609곳 소속 교사 1493명과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482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교사 역시 학부모의 학교 참여를 위해 가장 선호하는 소통 수단으로 ‘문자’(48%)를 꼽았다. 다음으로는 유선전화(25%), 대면(21%)순이었다. 이같은 추세는 저연차 교사와 고연차 교사 등 경력 차이, 담당 학년, 담임 여부 등과 관계없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현재 초등학교 학부모 상당수가 전화·카카오톡 등을 통해 교사와 부담감 없이 소통하는 것을 선호하는 1980년대생 학부모임을 고려할 때 이같은 결과는 새삼스럽지 않다”고 분석했다. 다만 “소통이 즉각적이고 빈번한 방식으로 이뤄질 경우 정제되지 않은 상태로 개인 의사가 전달되며 오해와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두 집단은 ‘건강한 관계 형성 방식’을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인식이 갈렸다. 학부모는 담임교사와 건강한 관계를 위해 ‘상담 활성화’를 1순위(46%)로 들었다. 이어 ‘민원창구 별도 마련’(27%), ‘학부모와 교원 인식 개선을 위한 연수’(14%) 순이었다. 교사는 학부모와 건강한 관계를 위해 ‘민원창구 별도 마련’(57%)을 1순위로 꼽았다.

보고서는 “학부모의 의견·요구와 민원을 구분하고 학교관리자를 중심으로 공식적·체계적으로 민원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