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기차 배터리도 '구독'…정부, '배터리 서비스산업' 키운다

윤종성 기자I 2024.06.18 16:00:01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산업 육성 간담회' 열려
이동형 충전· 금융서비스 등 8대 유망모델 제시
"전기차·배터리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 될 것"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해 민관이 머리를 맞댄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는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된 이후부터 충전, 정비·교체, 탈거·운송, 재제조·재사용·재활용까지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각종 서비스를 의미한다.

강경성 산업부 1차관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강경성 산업부 1차관, 백원국 국토교통부 2차관, 임상준 환경부 차관이 공동 주재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가 열렸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산업은 아직 본격 성장 전이나, 글로벌 전기차 보급 확산과 함께 미래 유망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간담회에서는 △전기차 배터리 성능 진단 △전기차 및 전기이륜차 배터리 구독·교체 서비스 △탄소 크레딧 거래 서비스 △재제조 배터리 진단 및 평가 서비스 △이동형 충전 서비스 △전력 거래 플랫폼 서비스 △배터리 회수·운송·보관 등 로지스틱스 서비스 △금융 서비스 등 업계가 직접 선정한 8대 유망 서비스 모델이 제시됐다.

산업부·국토부·환경부 등 3개 부처와 업계가 함께하는 ‘민·관 공동 협의체’도 공식 출범한다. 정부와 업계는 협의체를 통해 8대 유망 모델을 포함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산업의 육성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협의체는 업계가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해결하는 상시 소통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 정부와 업계는 협의체를 통해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성능평가 △운송·보관 등 공통 기준 마련 △유망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사업 등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강경성 차관은 “배터리 서비스 산업이 최근 전기차 캐즘(수요 성장세 둔화)으로 어려움을 겪는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관련 산업의 성장을 위해 산업부는 유관 부처와 함께 자동차-배터리 산업간 협업 촉진, 킬러서비스 모델의 집중 육성, 관련 제도 정비 등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