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포도·감귤 국산품종 자급률 3~4%대, 더딘 국산화[2022국감]

이명철 기자I 2022.10.11 14:14:07

작년 신품종 실용화율 17%, 갈수록 점차 낮아져
신정훈 의원 “다양한 수요처 발굴해 현장 활용돼야”

주요 품목의 국산 품종 자급률. (이미지=신정훈 의원실)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정부가 주요 농산물의 품종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국산 품종의 자급률이 낮고 보급에도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식량·원예작물 등 새로 개발된 신품종은 53건이지만 실용화된 것은 9건으로 실용화율 17.0%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 실용화율을 보면 2017년 69.9%(73건 개발, 51건 상용화)에서 2018년 63.0%, 2019년 53.7%, 2020년 34.8%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통상 개발된 품종이 현장에 보급되기까지 품종보호권 출원, 등록, 종자증식 등에 1~3년 가량이 걸리는 점을 감안해도 실용화 추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이다.

국산 품종의 실제 활용이 저조해 주요 농산물의 자급률도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지난해 기준 주요 품목 국산 품종 자급률을 보면 채소 중에서는 양파가 31.4%에 그쳤고 과수는 사과(21.4%), 배(15.0%), 포도(4.6%), 감귤(3.2%) 등이 크게 낮았다. 화훼의 경우 장미(31.1%), 국화(33.9%), 난(20.3%) 등 자급률이 20~30%대에 머물렀다.

농진청은 국내 품종을 개발함으로써 해외 로열티를 줄이기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한 신품종지역적응연구, 원예특작시험연구에 2013년부터 올해까지 약 7370억원을 집행하고 있다.

신 의원은 “애써 개발한 신품종이 현장에서 활용되도록 농가 접근성을 제고하고 품종별 강점을 적극 홍보해야 한다”며 “다양한 수요처 발굴을 통해 외래 품종 대체에 속도를 내 식량·기후 위기에 대비하고 농가소득 안정에도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품종 개발건수 및 보급(실용화)건수. (이미지=신정훈 의원실)


2022 국정감사

- MBC, 특별근로감독 받는다…“국감서 부당전보·직장 내 괴롭힘 제기” - 여가부폐지ㆍ尹정부 반대단체 지원중단 놓고 고성오간 여가위 국감 - `대장동 특검` 키맨 조정훈…"민주당 국감 보이콧, 직무유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