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삼성전자 노조 첫 파업…생존 달린 반도체 위기 돌파 '먹구름'

김응열 기자I 2024.05.29 16:14:09

삼성전자 노조, 내달 7일 단체 연차 사용…추가 행동도 예고
수장 바꾼 반도체부터 가전도 이미 위기…노조發 악재 겹쳐
“대화 테이블 돌아와야…반도체 필수공익사업 지정 검토도”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삼성전자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파업 리스크에 휩싸였다. 삼성전자 노동조합이 29일 파업을 선언하면서다. 전국 사업장에서 단체행동이 예상되는 만큼 반도체·가전 등의 생산라인 피해가 불가피해졌다. 특히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 수장을 바꿀 정도로 돌파구 마련이 필요한 절체절명의 상황이어서 노사가 다시 대화 테이블에 복귀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9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1)
손우목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삼노의 첫 파업은 다음달 7일 조합원들의 단체 연차 사용을 통해 이뤄진다. 이후에도 추가 파업에 나설 방침이지만 구체적 계획은 공개하지 않았다. 현재 전삼노 조합원 약 2만8400명인데, 상당수가 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삼노는 그간 사측과 임금교섭에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자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조정중지 결정과 조합원 찬반 투표 등을 거쳐 쟁의권을 확보했다. 삼성전자 노조는 2022년과 2023년에도 쟁의권을 확보했지만 파업을 단행한 적은 없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위기 돌파 시도에도 먹구름이 꼈다. 현재 삼성전자는 AI향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대형 고객사인 엔비디아에서 5세대 HBM3E 퀄(qualification) 테스트 통과가 늦어지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경쟁사인 SK하이닉스와 미국 마이크론은 이미 고객사를 확보해 제품을 양산 중이다. 최근 삼성전자 DS부문장이 기존 경계현 사장에서 전영현 부회장으로 교체된 것도 분위기 쇄신과 위기 타개를 위한 것이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노사 문제 이슈에 대응할 노사 협의체를 만드는 등 노력을 통해 노사분규가 발생하지 않도록 막을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번 파업을 계기로, 반도체 사업의 경우 필수공익사업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떠오르고 있다. 재계 한 고위인사는 “반도체 경제안보론이 커지는 가운데 노조 리스크가 증폭됐다”며 “반도체를 필수공익사업으로 지정할 필요가 커졌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