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 시카고상품거래소, 비트코인 현물 거래 런칭 계획"

방성훈 기자I 2024.05.16 15:27:00

FT, 소식통 인용 보도…"월가 투자자 등과 논의"
현물 ETF 승인후 대규모 자금 유입…수요 급증
"일부 대형 금융사 옹호론자로…제도권서 거래 원해"
현실화하면 스위스 EBS 화패거래소서 운영될듯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세계 최대 선물 거래소인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비트코인 현물 거래를 시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는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등과 같은 별도의 플랫폼에서 거래되고 있다.

(사진=AFP)


사안에 정통한 세 명의 소식통은 “CME는 잠재적인 비트코인 현물 거래 사업과 관련해 ‘규제가 적용된’ 시장에서 사고 팔기를 원하는 시장 참여자들과 논의를 진행해 왔다”며 “지난 1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한 이후 월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들 소식통은 “아직 계획이 확정되진 않았으나 만약 현물 거래 사업이 현실화한다면 암호화폐 자산 거래·보관 규정이 마련된 스위스 EBS 화폐거래소를 통해 운영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CME가 비트코인의 현물 거래 개시를 고려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암호화폐에 대한 인식이 대폭 개선된 영향이다. 올해 초 SEC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이 이뤄졌고, CME는 이미 비트코인 선물 거래를 호스팅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2022년 최저치를 기록했던 비트코인 가격이 올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비트코인 현물 ETF에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며 세계 최대 금융기관 들 중 일부가 회의론자에서 옹호론자로 변모했다.

암호화폐와 관련해 불법적인 시장 활동에 대한 규제 및 단속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비트코인도 다른 자산들처럼 제도권 안에서 거래하고 싶다는 투자자들이 크게 늘었다.

CME가 이미 비트코인 선물 거래를 취급하고 있는 만큼 현물 거래까지 도입하면 투자자들이 이른바 베이시스 거래를 더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FT는 내다봤다. 베이시스 거래는 현물과 선물 가격 차이에서 이익을 얻는 방식으로 미 국채 거래의 주요 전략이다. 미 국채 기반 베이시스 거래 대부분은 CME 거래소에서 이뤄지고 있다.

주로 헤지펀드와 개인 투자자들에게 금융상품 서비스를 제공하는 CME는 시카고 시장에서 약 2만 6000개의 오픈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약 85억달러 규모로 1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한 암호화폐 업계 임원은 “CME의 움직임의 가장 큰 혜택은 대규모 규제 거래소가 비트코인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등 가상자산 거래를 위한 인프라에 더욱 익숙해지고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FT도 “비트코인 현물 거래의 현실화는 현물 ETF 승인 이후 주요 월가 투자자들의 가상자산 부문에 대한 추가 잠식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