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환자 진료에만 집중하라”…의료파업 속 이국종 교수 근황 화제

강소영 기자I 2024.03.08 18:47:53

응급환자들, 의료계 파업 이어지자 군 병원으로
이국종 교수 “환자 진료, 의료진의 당연한 책무”

[이데일리 강소영 기자] 의료계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현장을 떠나는 가운데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의 근황이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이유에는 파업 장기화에 따라 대학 병원을 이용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군 병원을 이용하는 횟수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사진=뉴시스)
최근 국군대전병원은 지역 대학 병원 전공의들의 파업으로 긴급 수술을 받지 못한 환자를 대신 수술했다.

수술이 끝난 뒤 국군대전병원 관계자는 “군의 존재 목적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고 응급환자 진료는 의료진으로서 당연한 책무”라며 “(이국종 국군대전병원) 병원장 지침에 따라 환자 진료에만 집중하고 진료내용은 확인해 드릴 수 없다”고 전했다.

또 이 병원장은 환자 진료가 의료진의 당연한 책무인 만큼 관련 사안을 외부로 발설하지 말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국방부는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대책으로 지난달 20일부터 12개 군 병원 응급실을 개방했다. 이어 응급환자의 군 병원 이용이 가능하도록 출입절차를 간소화하고 민간인 전용 접수창구도 개설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 5일 정오까지 군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민간인 응급환자는 139명으로, 그 중 국군대전병원은 28명의 민간인 진료를 담당했다.

현재 대전 지역에도 충남대병원 168명 등 전공의 총 420명이 사직서를 내고 근무지를 이탈해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군 병원 한 의료진은 언론에 “대국민 진료가 시작된 후 민간 환자들이 군 병원을 찾으면서 군 의료진 부담도 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군 응급실로 내원하는 대다수 민간 환자가 군을 믿고 와주신 분들로 최상의 의료지원으로 보답하겠다는 마음으로 수술 등에 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 병원장은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당시 삼호주얼리호 선장과 2017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뛰어넘어 귀순하다 총상을 입은 북한 병사를 살린 인물로, 지난해 12월 27일 국군대전병원 병원장으로 임명됐다.

의대증원 현실화

- 정부, 이번주 전공의에 초강수 카드 꺼낸다(재종합) - 의대 증원 확정에도 의대생 미복귀…“동맹휴학은 불허” - 전공의 없는 병원 뉴노멀…의사 국시 예정대로(종합)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