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불안감 잦아든 새마을금고....금감원장 “걱정안해도 될만큼 관리”

전선형 기자I 2023.07.13 15:48:52

정부 진화 작업뒤 예금인출 줄어든 듯
중앙회와 단위금고 상황 면밀히 체크

[이데일리 전선형 기자] 새마을금고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우려가 잦아드는 모양새다. 지난주 행정안전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정부가 ‘새마을금고는 안전하다’며 직접 진화에 나선 효과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걱정 안 해도 될 만큼 관리 중”이라며 다시 한 번 새마을금고 예금자들을 안심시켰다.

13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화생명 본사에서 열린 ‘상생친구 협약식’이후 취재진과 만나 “새마을금고의 경우 다행히 소비자들이 정부의 노력을 귀기울여주고, 신뢰해주면서 불안감 등이 이번 주에는 잦아드는 모습”이라며 “새마을금고와 관련된 걱정들은 진짜 안 해도 될 정도로 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63빌딩 라벤더홀에서 상생친구 협약식을 마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 원장은 이어 “중장기적으로 원인은 무엇인지 행안부와 금융위의 요청으로 다수의 전문요원을 보내 중앙회와 단위 금고의 상황을 면밀히 체크하고 있다”며 “개선의 여지가 없는지 보고 있으며, 국회의 다양한 입법 노력 등이 검토 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 6월 말 기준 연체율이 6%대까지 급등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위기설에 휩싸였다. 보통 은행권은 1% 미만, 저축은행이 5% 수준, 상호금융이 3% 아래로 관리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여기에 새마을금고가 금융감독원 관할 밖이라는 소식에 불안감이 커진 소비자들이 예금을 한꺼번에 빼며 뱅크런 가능성이 커진 바 있다. 뱅크런 우려가 점점 커지면서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물론 관리 주무부처인 행안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은 지난주 새마을금고가 안전하다며 진화에 나섰다. 새마을금고 예금 해지가 이번주 크게 잦아들고 있고, 재예치도 상당수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 원장은 새마을금고를 비롯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에 대해서도 만전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지난해 진행한 사업장 전수조사, PF대주단 협약, 정책금융을 통한 자금 공급 플랜 등을 통해 자금을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자연스러운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수밖에 없겠지만 그것이 시스템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불어난 가계대출에 대해서도 ‘걱정할 수치는 아니다’라며 안심시켰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6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062조300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5조9000억원 늘었다. 대출 증가 폭은 2021년 9월(6조4000억원) 이후 가장 크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6월 중 전체적인 가계대출이 3조5000억원 정도 늘어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2020~2021년 가계 대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을 때 매달 10조원에 가까운 금액이 증가했던 점을 비춰보면 걱정할 수치는 아닌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그는 “GDP대비 가계 대출 성장폭도 훨씬 적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단계적으로는 GDP대비 가계 대출 규모를 점점 줄여나가고 있다는 의미고 절대적인 규모 만큼이나 변동금리와 관련된 악성 가계대출 포션을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이 원장은 현재 보험업계 내에서 논란이되고 있는 회계기준(IFRS17)과 관련한 소급법·전진법 적용 여부에 대한 언급도 했다. 이 원장은 “업계의 애로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을 하고 있고, 이번달이나, 다음달 중 업계 의견을 수렴한 방안이 외부에 공표될 수 있을 것”이라며 “실질이 아닌 회계적 이유로 혼란이 초래되는 문제는 재발해선 안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숫자의 왜곡을 가져올 수 있는지, 아닌지를 보는 게 금감원의 책임이라고 본다”며 “현재 회계제도가 합리적이고 방향성은 맞지만, 워낙 급격하게 많은 변화가 있다 보니까 그런 것들을 단계적으로 좀 안착시킬 수 있는 방안들은 관련 보험사들과 지금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끝나지 않은 새마을금고 사태

- 새마을금고 "중앙회장 4년 단임제·전문경영인 도입 검토" - 새마을금고 경영혁신위, 13일 지배구조 혁신 세미나 - [현장에서]'새마을금고 메시지' 전략 수정해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