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의철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 정혜원 충북대병원 교수와 함께 이같은 연구 결과를 냈다고 7일 밝혔다.
코로나19에 한 번 걸렸다 회복되면 이에 대항하는 방어면역이 형성된다. 방어면역에는 중화항체와 기억 T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 시간이 지나면서 줄기 때문에 최근에는 기억 T세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
연구팀은 한국인 코로나19 회복자들을 대상으로 10개월 동안 추적 연구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기억 T세포의 특성과 유지 기간을 연구했다. 특히 최첨단 면역학 연구기법을 활용해 기억 T세포의 장기 유지에 중요한 줄기세포 유사 기억 T세포 발생을 분석하고, 한 번에 여러 기능을 나타내는 다기능성 기억 T세포의 존재를 파악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회복 직후부터 나타나는 기억 T세포가 열 달 동안의 관찰 기간 동안 잘 유지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기억 T세포는 코로나19의 경증·중증 여부와 상관없이 대부분 회복자들에게서 잘 나타났다. 열 달이 지난 후에도 다시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을 만나면 기억 T세포가 활발하게 증식했다. 이는 회복자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다시 노출되면 기억 T세포들의 방어면역 기능을 잘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한다.
회복자에게서는 줄기세포 유사 기억 T세포가 잘 발생했다. 줄기세포 유사 기억 T세포는 오랜 기간에 걸쳐 기억 T세포들의 숫자를 유지해주는 재생기능을 가진 세포이다.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회복자들의 기억 T세포가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할 것이라는 것을 기대하는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들의 기억 T세포 형성과 기능 특성을 규명하고, 코로나19 회복자들의 기억 T세포와 비교해 백신의 면역학적 효과를 파악하는 후속 연구를 하고 있다.
신의철 교수는 “코로나19 회복자의 기억 T세포 기능과 특성을 세계에서 가장 오래 연구한 결과”라며 “시간에 따른 방어면역 분석으로 최적화된 차세대 백신 개발 전략을 설계할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달 30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