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송영중 경총 부회장, 협회 최초 중도해임..‘내분 사태’ 일단락될까(종합)

노재웅 기자I 2018.07.03 14:54:36

취임 후 석달 못채우고 퇴진
차기 부회장 선임 절차 개시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3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영자총협회 임시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번 ‘한국경영자총협회 임시총회’는 송영중 경총 부회장의 거취를 결정하기 위한 회장단 회의로 지난 5월 최저임금 산입문제를 놓고 송영중 부회장은 경총의 입장과 달리 노동계 의견을 그대로 수용해 최저임금 위원회로 넘기겠다고 밝혀 일부 회장단이 반발하는 등 논란이 됐다.
[이데일리 노재웅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내분 사태의 중심에 선 송영중 상임부회장이 결국 협회 설립이래 최초로 중도 해임됐다.

3일 경총은 임시총회를 열어 거취 논란이 불거졌던 송 부회장을 해임했다. 이로써 송 부회장은 지난 4월 초 취임 후 채 석 달을 채우지 못한 채 물러나게 됐다.

경총은 “임시총회에서 송 부회장 임면(해임)안을 표결에 부친 결과 233명 중 224명이 찬성해 가결됐다”고 밝혔다.

◇233명 중 224명이 해임 ‘찬성’

경총은 △직원 간 분열 조장과 파행적 사무국 운영 △경제단체의 정체성에 반하는 행위와 회장 업무지시 불이행 △경총의 신뢰 및 명예 실추 등을 사유로 송 상임부회장 해임안을 제안했고 표결 결과 통과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총회에는 전체 회원사 407곳 가운데 233곳이 참여한 가운데 열렸다. 170개사가 회장에게 의결권을 위임했고, 63개사가 회의에 참석했다.

재계에서는 송 부회장의 해임을 두고 예고된 결과라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송 부회장과 경총 사무국과의 갈등의 골이 깊어질 때로 깊어져 봉합이 불가능한 수준까지 나아갔기 때문이다.

송 부회장은 노동부 근로기준국장과 산업안전국장, 고용정책본부장 등을 지낸 정부 고위관료 출신으로 지난 4월 취임 당시부터 ‘낙하산 인사’ 논란에 휩싸였다.

이어 지난달 하순에는 국회 논의 대신 최저임금위원회에 다시 부쳐야 한다는 노동계 주장에 동조하면서 재계 반발을 샀다. 이후 회원사들의 철회요구가 거세지자 송 부회장은 여러 논란과 과대 해석에도 아무런 해명도 없이 일주일이나 재택근무라는 이름 아래 칩거생활에 들어갔다.

더 나아가 송 부회장은 해임을 결정할 임시총회 날짜가 정해진 직후 경총을 ‘적폐세력’으로 지목하면서, “경총 안에 이사회에 보고되지 않은 사업이 많고, 그 수입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 수 없다”며 경총 내부에서 회계 비리가 저질러졌다는 주장까지 펼쳤다. 경총이 수입 중 일부를 유용해 임직원에게 격려금으로 지급했다는 이른바 ‘비자금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법적 공방 장기화 가능성도

내분 사태는 송 부회장의 중도 해임으로 일단락된듯 하지만, 장기화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송 부회장은 그동안 직무정지 조처에 대해 법적 효력에 의문을 제기하면서도 자신의 해임안이 총회에서 통과될 경우 그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다만 송 부회장이 이전에도 자신의 입장을 번복한 바 있고, 이번 총회를 앞두고도 손경식 경총 회장을 비판하는 내용의 공개질의서를 손 회장과 경총 회원사에 보내는 등 억울하다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어 이번 해임 결정에 대해서도 불복하고 법적 대응 등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경총은 이날 바로 차기 부회장 선임을 위한 전형위원회를 구성하고 활동에 들어갔다. 총회에서는 전형위원회에 상임부회장 선임 권한을 위임하기로 했다.

손 회장은 “다음주에 다시 전형위원회를 열어 차기 부회장 후보를 추천할 것”이라며 “부회장 추천 및 선임 권한은 회장에게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상임부회장을 ‘상근부회장’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상임부회장은 회장의 명을 받아 사무국 업무를 수행하며, 사무국 업무 수행에 한해 본회를 대표한다’는 조항을 신설했다.

이는 송 부회장의 거취 논란 와중에 경총 정관상 회장과 상임부회장이 경총을 공동으로 대표하는 것으로 돼 있어 권한의 범위를 두고 논란이 일자, 회장의 권한을 강화하며 지휘체계를 재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경총은 총회 뒤 “앞으로 경총은 이번 총회를 계기로 투명한 경총, 회원사의 기대에 부응하는 경총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