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현장에서]바나나 막걸리 2달 만에 200만병..성공해서 좋겠다고?

함정선 기자I 2016.06.07 15:25:21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국순당의 바나나 맛 술인 ‘국순당 쌀 바나나’가 5월 말 기준 200만병 팔렸다. 출시 두 달 만이다. 막걸리 시장이 최근 2~3년 만에 반토막 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거둔 성과이니 국순당으로선 호재라 할 수 있다.

바나나 맛 외에도 다양한 맛의 제품을 선보여 막걸리 붐을 다시 일으킬 수 있다는 희망도 생겼고 과즙 소주, 탄산주 열풍과 함께 과일 막걸리 매출 증가도 노려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순당은 오히려 고민이 늘었다. 쌀 바나나가 인기를 끌어도 이익이 크게 늘지 않는데다가 도매상으로부터 불만도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모두 쌀 바나나가 막걸리가 아닌 기타주류이기 때문이다. 쌀 바나나는 바나나 향을 첨가했기 때문에 주세법상 탁주가 아닌 기타주류로 분류된다. 탁주의 주세는 5%, 기타주류의 주세는 30%로 바나나 막걸리의 인기가 국순당 이익 개선으로 직접 이어지긴 쉽지 않다.

소비자들로부터 원성도 사고 있다. 기존 탁주가 1000~1200원인 반면 쌀 바나나는 주세법 때문에 1700원에 팔리고 있다. 주세법을 잘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막걸리에 바나나를 넣고 비싸게 판다는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다.

도매상과의 마찰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다. 탁주와 약주 등 전통주는 ‘특정주류도매업’이 판매한다. 그러나 쌀 바나나는 기타주류로 종합주류도매업이 판매해야 한다.

국순당과 친밀한 관계를 이어왔던 특정주류도매상들은 쌀 바나나가 인기를 끌어도 유통을 할 수가 없는 것. 특히 이들은 소주와 맥주 등 다양한 주종을 다루는 종합주류도매상 대비 상대적으로 영세하다. 일부 특정주류도매상들은 국순당을 향해 “인기 제품을 주지 않는다”며 비난의 화살을 던지고 있다.

이 때문에 국순당은 국내에서가 아닌 해외에서 과일맛 막걸리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쌀 바나나의 인기를 보면 국내에서도 관련 제품 출시가 잇따라야 하지만, 규제나 제약 때문에 무조건 출시가 쉽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미 국순당은 해외 시장에서 바나나 외에도 복숭아, 유자 등 과일시리즈를 출시하고 15개국에 47만병을 수출했다. 해외 유명 식품박람회 수상도 이어지고 있다. 해외 시장은 국내보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어 발 빠르게 움직이며 시장 상황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순당 관게자는 “막걸리 시장이 살아나려면 다양한 맛의 제품이 나와야 하는데 국내에선 상황이 녹록지 않다”며 “국순당뿐만 아니라 영세 도매상들도 피해를 입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