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분도반대에 서울편입까지…경기북부특별자치도 '가시밭 길'

정재훈 기자I 2024.06.03 14:59:50

평화누리특별자치도 논란 뒤 반대여론 수면위로
김동연지사 '라방' 진화 나섰지만 반대 더 거세져
구리시 '서울편입'에 다산신도시 '반대서명운동'
道 "모든일에 반대 있을수 밖에…소통으로 극복"

[의정부=이데일리 정재훈 기자] 최근 ‘평화누리특별자치도’라는 새이름으로 홍역을 치렀던 김동연 경기지사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계획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김 지사가 직접 나서 SNS 라이브방송까지 하면서 평화누리특별자치도 논란에 대한 진화에 나섰지만 특별자치도 설치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덩달아 수면위로 올려놓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에 맞닥뜨리게 된 셈으로 향후 경기도의 대응에 난관이 예상되고 있다.

지난 2022년 치러진 민선8기 지방선거 당시 후보자 신분이던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북부청에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정재훈기자)
3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지난 29일 밤 9시 30분부터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 라이브 방송을 통해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 배경과 필요성, 명칭 논란에 대해 도민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라이브방송은 평화누리특별자치도 명칭이 촉발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반대한다는 도민 청원에 대한 김 지사의 공식 답변이자 반대 여론을 잠재우고 반전의 기회를 만들기 위해 추진했다. 방송에서 김 지사는 “경기도를 쪼개는게 아니라 경기북부 360만 주민과 무한한 잠재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도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평화누리특별자치도 논란 이전에 크게 부각되지 않았던 특별자치도 설치에 대한 반대 여론이 김 지사의 이번 라이브방송을 전후 해 더욱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31일 구리시는 ‘서울편입’에 대한 토론회를 열고 시민들의 의견을 모으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구리시는 경기북부에 산재한 개발제한구역 및 수도권정비계획법 상 과밀억제권역 등 규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서울편입’이라는 새로운 아젠다가 적합하다는 의견을 모았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백경현 구리시장은 “서울편입은 자족도시 전환과 시민 삶의 질 향상 등 구리시의 도약을 위한 절호의 기회”라며 “편입을 위한 첫걸음으로 토론회를 마련했고 6월 중 여론조사도 예정돼 있는 만큼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시민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상 경기북부특별자치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견인 만큼 경기북부 10개 지자체 중 한곳인 구리시의 노선 변화가 경기도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뿐만 아니라 경기북부에서 손꼽히는 신도시 주민들도 평화누리특별자치도 논란이 빚어진 직후부터 특별자치도 설치 반대를 외치고 있다. 계획 인구만 9만여명에 가까운 남양주 다산신도시를 대표하는 주민 커뮤니티인 ‘다산신도시 총연합회’는 지난달 20일을 기점으로 경기북도 분도 반대를 위한 범도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다산신도시 총연합회는 온라인을 통해 10만명을 목표로 범도민 서명운동을 지속 추진하고 추후 반대운동 확산을 위한 임시 조직도 구성해 대응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연합회 관계자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는 재정자립도가 낮은 경기북부를 경기도에서 사실상 축출해 내려는 정책”이라며 “경기도를 남부와 북부로 나누는 분도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연관된 타 지역과 연계해 범도민 반대운동을 더욱 확산시켜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기북부지역 전체 인구의 3분의 1 가까이를 차지하는 고양특례시에서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반대 여론이 점차 확산하는 추세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더 많이 만나고 설명해서 당위성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강현석 경기북부특별자치도추진단장은 “경부고속도로와 인천공항을 건립할 때에도 반대는 있었지만 꼭 필요한 사업이었다는 것은 국민 모두가 동의하는 부분”이라며 “특별자치도는 그동안 발전이 더뎠던 경기북부를 위한 정책인 만큼 앞으로 지금보다 더 많은 도민들을 만나서 필요성을 알리고 설명하면서 논란을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