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계신용은 우리나라 가계가 은행·보험사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가계대출)과 신용카드 이용액 등(판매신용)을 더한 것이다.
분기 기준 증가폭(44조2000억원)도 직전 분기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했지만, 역대 세 번째 규모로 많았다. 부동산 거래 장려 정책을 폈던 박근혜 정부 당시인 2016년 4분기(46조1000억원)와 영끌족이 몰렸던 지난해 3분기(44조6000억원)에 이어 세번째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가계 대출 증가 폭은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규모 자체는 역대 세 번째”라면서 “정부가 가계 신용대출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추가 대출 규제를 지난 11월 13일 내놨는데,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규제 영향이 있었는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계신용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은 지난해 4분기 기준 1630조2000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44조5000억원 증가해, 지난 2003년 통계편제 개편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다. 직전 분기 대비 증감율은 2.8%로 2016년 4분기 3.4% 이후 두번째로 높았다. 업권별로는 예금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증가폭이 각각 28조9000억원(3.5%), 6조6000억원(2.1%) 각각 증가했다.
상품별로도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 모두 크게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은 4분기 기준 910조6000억원을 기록, 전 분기 대비 20조2000억원(2.3%) 늘어 2016년 4분기(3.5%) 이후 가장 많이 늘었다. 특히 719조5000억원을 기록한 기타대출은 직전 분기 대비 24조2000억원(3.5%) 급증해 2003년 통계편제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예금은행은 주택 매매거래량 증가 등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확대된 가운데, 주택·주식 자금 수요 등으로 기타대출도 전분기에 이어 크게 증가했다”면서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주택담보대출이 증가로 전환된 가운데, 상호금융을 중심으로 기타대출 증가폭도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판매신용은 95조9000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2000억원 줄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코로나19 3차 유행 영향에 따른 소비 감소 등으로 여신전문회사를 중심으로 줄었다. 실제로 민간소비의 실질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 1.5%에서 3분기 0.0%로 줄었고, 4분기엔 -1.7%를 기록했다.
한편, 정부는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는 가계빚을 관리하기 위해 오는 3월부터 가계대출 관리 대책을 강화해 발표한다. 차주별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도입한다. 현재 DSR 규제는 투 트랙으로 △9억원 초과 주택담보대출 및 1억원 초과 신용대출 초과시 40% 이내 △개별은행당 평균 DSR 40% 이내로 운영되고 있으나 이를 통합하거나 조정해 대출자 차주별로 DSR 산정 방식을 변경해 나갈 방침이다. 동시에 신용대출도 주택담보대출처럼 원리금(원금, 이자) 분할상환방식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