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온라인유통·투자 최소화’가 무기…4천억 모은 제4이통 스테이지엑스

김현아 기자I 2024.02.07 13:29:35

단통법 폐지 맞춰 온라인 단말기 유통
내년 상반기 서비스..재무적 능력은 아직 검증 안 돼
조만간 사업설명회..연내 1천억 시리즈A 목표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SK텔레콤·KT·LG유플러스와 경쟁하는 제4이동통신 스테이지엑스가 7일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업전략을 밝혔지만, 성공 가능성을 장담하기는 아직 어려워 보인다.

가장 큰 우려를 낳은 재무적 능력에 대해 “4000억원을 확보했고 연내 1000억원 이상 유치를 추진중”이라고 밝혔지만, 3% 이상 주요 주주나 컨소시엄 참여자들의 이름은 공개하지 않아서다.

비용 추계 역시 주파수 할당대가(4301억원)에 통신설비 투자(1827억원)을 합쳐 6128억원을 언급했을 뿐, 기존 통신사 통신망 공동 사용비(로밍비)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제4이통 스테이지엑스가 통신서비스 혁신의 방향으로 언급한 △단말기와 통신서비스 가입의 온라인화나 △통신 설비 투자 최소화와 인공지능(AI) 등 연구개발(R&D) 확대는 미래 방향성 측면에서 의미가 있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7일 여의도 페어몬트 앰베서더 서울에서 진행된 스테이지엑스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서상원 스테이지엑스 대표가 28GHz 통신 사업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스테이지엑스


통신분야 슈퍼앱될 것…알뜰폰과 제4이통 따로 운영


스테이지엑스는 알뜰폰 업체 스테이지파이브가 주도했다. 통신망을 직접 구축하는 제4이통과 기존 통신사 망을 빌려 쓰는 알뜰폰은 다르다. 회사는 스테이지파이브의 알뜰폰을 제4이통(스테이지엑스)에 이관하지 않는다고 했다.

양사 대표이사(CEO)를 맡은 서상원 대표는 “스테이지파이브는 풀MVNO(설비기반 알뜰폰)로서 계획 중인 기업공개(IPO)도 차근차근 진행하고 스테이지엑스와의 시너지를 찾겠다”고 말했다. 스테이지파이브는 알뜰폰 가입자 8만여 명을 보유중인데, 스테이지엑스가 ‘기존 통신사 통신망 로밍+공연장·학교 등에 구축한 28㎓’로 듀얼밴드 단말기로 제4이통 가입자를 유치하면 둘이 부딪히지 않을까.

서 대표는 이에 대해 “스테이지파이브는 가격 경쟁력이 무기이고, 스테이지엑스는 통신분야 슈퍼앱으로 스테이지파이브의 핀다이렉트 앱을 발전시켜 앱 내에서 해외로밍, 내 폰 시세조회 서비스는 물론 보이스피싱 차단, 대용량 실감 콘텐츠, 로봇, 도심항공교통(UAM)이 결합된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고 말했다.

무기는 비용절감…반신반의 시각도

스테이지엑스의 무기는 온라인 유통을 통한 오프라인 유통비용 절감, 설비투자 최소화에 있다. 서상원 대표는 “2018년 타사업자 5G 주파수 취득 및 투자와 비교하면 주파수 1.2조원(28㎓와 중대역 주파수)에 통신설비를 약 9.8조 투자했는데, 우리는 주파수 4301억원(5년 분할)에 통신설비 1827억원(3년분할)투자한다”면서 “이렇게 아낀 비용으로 연구개발(R&D) 투자를 하고 2025년 상반기 서비스를 시작해 3년 후 매출규모 1조원 이상,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같은 계획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도 없지는 않다. 장비업계 관계자는 “5G 투자가 성숙기에 들어선 상황에서 설비투자를 줄이는 것은 5G 혁신을 바라는 정부의 제4이통 설립취지와 맞지 않다”고 했고, 통신업계 관계자는 “이용자 경험을 혁신하는 방향은 맞지만, 투자를 제대로 하지 않고 기존 통신사 인프라에만 기대는 건 아닌가”라고 했다.

재무 능력에 대한 궁금증도 여전하다. 서상원 대표는 연내 사업계획 설명회를 별도로 열고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겠다고 했지만, 재무적 투자자로 알려진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도 최소한의 설명만 했다.

신한투자증권 권혁준 기업금융2본부장은 ‘신한투자증권이 지분투자를 했는지, 전환사채 방식인지, 자금 대출인지’ 등을 묻자 “법인의 설립이라든가, 주파수의 대금 납입, 정부의 지원, 비즈니스 방향들에 대해 좀 더 구체화해서 사업 타당성을 판단해 봐야 되는 부분들이 있다. 사전 접촉한 많은 투자자분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여러 가지 자금 조달에 대한 자문을 드리고 있다”고만 답했다.

서상원 대표는 지분을 판 카카오에 대해서는 시너지를 기대했다. 카카오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말 스테이지파이브 지분(20.94%)을 민원기 ESG위원장(전 과기정통부 차관) 등 임직원이 참여한 신규투자조합에 넘겼고, 카카오인베스트먼트는 8.30% 지분율을 갖고 있다.

서 대표는 “카카오는 스테이지파이브 최대 주주에서 내려올 예정이지만 여전히 투자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온라인 유통이나 광고 마케팅처럼 양사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부분은 기존처럼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