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일하는 사람 처음으로 줄었다…코로나 직격탄에 대구 3.2만명 감소

김소연 기자I 2020.04.28 12:00:00

고용노동부 3월 사업체노동력 조사 결과
2009년 통계 조사 이래 종사자 수 감소 처음
숙박음식점업·임시일용직 중심 타격…상용직마저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고용대란이 본격화하고 있다.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가 전년 대비 22만 5000명이나 줄었다. 통계 작성 이래 사업체 종사자 수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임시일용직·특수고용노동자(특고)나 프리랜서 등 취업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실업급여 신청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난 7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실업급여 신청자가 상담창구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임시·일용직 등 취약계층 코로나19 고용 직격탄

2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0년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3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1827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1850만3000명) 대비 1.2%(22만5000명) 감소했다. 지난 2월 종사자 수 증가폭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고, 코로나19 여파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3월에 종사자 수가 줄어든 것이다.

이날 권기섭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앞서 발표된 3월말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증가폭 둔화와 3월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취업자수 감소와 함께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은 임시일용직·특고나 프리랜서 등에게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상용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8000명(-0.1%) 줄었고, 임시일용 근로자는 12만4000명(-7%)이나 감소했다. 일정한 급여 없이 판매 실적에 따라 수수료를 받는 기타종사자 역시 9만3000명(-7.9%)이나 줄었다.

상용근로자 종사자 수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무급휴직자도 종사자 수에서 제외하기 때문에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고용부는 판단했다.

산업별로 보면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대면 서비스 위주의 업종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코로나19에 큰 영향을 받은 숙박·음식점업에서 12%(15만3000명)나 종사자 수가 줄었다.

이어 △교육서비스업 6.7%(10만7000명) △공연업 등이 포함된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11.9%(3만9000명) △여행업과 렌터카업을 포함한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3.3%(3만8000명) △도소매업 1.5%(3만4000명) 등이 감소했다. 제조업 역시 전년 동월 대비 0.3%(1만1000명) 종사자 수가 줄었다.

권 실장은 “제조업은 일시 휴직이나 무급휴직 등의 방법으로 고용을 유지하는데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제조업 자체에서 대규모 실직이나 상용근로자의 대량 해고가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 제공
◇3월 근로자수 17만1000명 줄어들어…입직자<이직자

상용직과 임시·일용직 종사자의 입직과 이직 동향에서도 고용 위기의 조짐이 뚜렷하게 보였다.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하는 3월 근로자 수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 3월 입직자는 103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2만7000명이나 줄었다. 이직자는 121만1000명으로, 20만9000명(20.9%) 급증했다.

지난 달 말을 기준으로 보면 입직자가 이직자보다 17만1000명이나 적었다. 이는 지난 2월 상용직과 임시·일용직 근로자 수보다 3월 근로자 수가 17만1000명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권 실장은 “통상적으로 2월에는 입직자보다 이직자 수가 더 많고, 3월에는 입직자 수가 더 많은 계절성을 보이는데 올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입직자 수가 이직자 수보다 더 적었다”고 설명했다.

이직 사유별로 보면 자발적 이직이 1만9000명, 비자발적이직이 7만4000명, 기타이직이 11만6000명으로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육아휴직, 무급휴직 등을 포함하는 기타이직이 50% 이상 폭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무급휴직 증가가 원인으로 보인다”며 “자발적 이직 증가 역시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도소매업이나 숙박음식점업 등 대면 서비스업에서 부담을 느낀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지역별 고용 위기 상황도 확인된다. 코로나19 피해가 컸던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종사자 수 감소도 나타났다.

사업체 종사자 증감을 시·도별로 보면 종사자가 감소한 지역은 대구, 부산, 경북 등을 비롯해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했다.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큰 대구는 무려 4.2%(3만2000명) 줄어 직격탄을 맞았다. 부산도 2.3%(2만7000명), 경북 1.9%(1만6000명) 줄었다. 세종, 전남, 충북, 전북 지역만 종사자 수가 증가했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