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엔화 가치, 1달러=135엔대 초반 '뚝'…24년만에 최저

방성훈 기자I 2022.06.13 16:19:20

엔·달러 환율 한때 135.16엔…1998년 10월 이후 최고
연준 14~15일 0.5%p 금리인상 전망에 하방압력↑
日정부, 지난주 시장개입 시사했지만 "효과 없어"
"투기세력, 금융완화 입장 확인후 마음놓고 엔화 매도"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일본 엔화 가치가 거의 2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1998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환율인 미화 1달러당 135엔 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사진=AFP)


13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 등에 따르면 엔·달러 환율은 이날 도쿄 외환시장에서 135.16엔까지 상승했다. 이는 아시아 외환위기였던 1998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미 노동부가 지난 주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대비 8.6% 상승, 1981년 12월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14~15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0.5%포인트 인상할 것이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일본 정부가 지난 주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연준의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예상하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상황이어서 전혀 먹혀들지 않고 있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일본과 더불어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했던 유럽중앙은행(ECB)과 스위스 중앙은행마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관측된다는 점도 하방 압력을 높이고 있다. ECB는 이미 7월과 9월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 했다. 이 때문에 엔·유로 환율도 이날 141.75엔으로 치솟았다. 2015년 1월 이후 7년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이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일본과의 장기금리 격차는 더욱 벌어지게 된다. 일본은행은 단기금리를 -0.1%, 장기금리인 국채 10년물 금리는 국채 무제한 매입을 통해 0%로 유도하는 통화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지난 7일 참의원 재정금융위원회 출석해 엔저에 대한 우려를 표하면서도 통화정책을 수정하진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이후 기관들을 중심으로 금리가 더 높은 곳으로 투자자금을 이동시키려는 수요가 크게 늘었고 엔화 가치를 끌어내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투기세력의 엔캐리 트레이드 거래가 활발해진 것이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외환 딜러는 “일본은행의 입장을 확인한 투기세력들이 안심하고 엔화를 매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이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일본 수입업체들의 달러화 수요 확대로 이어져 엔저를 가속화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씨티그룹글로벌증권의 타카시마 슈우는 “유가 고공행진이 지속되면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어려워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일본과 각국 간 금리격차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