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반환점 돈 삼성 2기 준법위…핵심 과제 '지배구조 개선' 손댄다

김응열 기자I 2023.01.18 15:43:05

삼성생명 통한 오너일가 지배구조, 어떻게 바꿀지 주목
컨트롤타워 부활 여부 쟁점…"각 사업 시너지 창출 집중"
이찬희 "지배구조 개선·준법경영 확실히 정착시킬 것"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이데일리 DB)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삼성 2기 준법감시위원회가 17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올해 첫 정기회의를 열며 2년 임기의 반환점을 돌았다. 2기 준법위는 지난해 삼성 경영진의 준법경영 의지를 확인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뒀으나 핵심과제로 지목한 지배구조 개편에 관해서는 이렇다 할 결과물을 내놓지 않았다. 준법위는 올해 지배구조 개선과 더불어 삼성 내 준법경영을 확실하게 정착시키겠다는 계획이다.

18일 준법위 관계자는 “특별한 안건 없이 일상적인 현안 위주로 올해 첫 회의를 마쳤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내부거래 승인과 준법위에 접수된 신고·제보 관련 보고 등 일상적인 현안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회의는 오후 2시에 시작해 오후 6시쯤 마쳤다.

이찬희 위원장이 선임되며 지난해 2월 초 출범한 2기 준법위는 출범 당시 중심 추진 과제로 △인권 우선 준법경영 확립 △공정하고 투명한 준법경영 정착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현 등을 꼽았다.

2기 준법위는 출범 첫 정기회의 때 노동소위원회, 시민사회소통소위원회와 별도로 내부에 ESG소위원회를 추가했고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회장, 삼성 관계사 사업지원태스크포스(TF)장들과 만나 준법경영 의지를 확인하기도 했다.

핵심과제는 지배구조 개편…“중장기 관점서 지주사 체제 갖춰야”

올해 2기 준법위가 풀어야 할 남은 숙제는 아직 마땅한 성과가 없는 삼성 지배구조 개편이다. 삼성은 오너일가→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삼성물산의 최대 주주인 이 회장은 삼성물산 지분을 18.13% 보유하고 있고, 삼성물산은 삼성생명 지분 19.34%를 가진 최대 주주다.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지분의 8.51%를 소유하고 있다. 이 회장은 삼성생명 지분도 10.44%를 갖고 있다. 그러나 삼성전자 지분은 1.63%에 불과하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회계부정·부당합병’ 관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런 상황에서 ‘삼성생명법’으로 불리는 보험업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지분을 총 자산의 3%만 보유할 수 있어 나머지 지분은 팔아야 한다. 이 회장의 삼성전자 지배력이 약해질 수 없게 된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삼성 지배구조 개선의 핵심은 삼성생명을 통한 오너일가의 지배구조를 어떻게 바꾸느냐 여부”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지주사를 만들어 이재용 회장이 최대 주주가 되고 지주사가 삼성전자를 지배하는 방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찬반 갈리는 컨트롤타워 부활도 쟁점…이찬희 “주어진 과제에 최선”

삼성 컨트롤타워 부활 여부도 준법위의 주요 과제 중 하나다. 삼성은 2017년 2월 컨트롤타워였던 미래전략실을 폐지하는 대신 △사업지원(삼성전자) △금융경쟁력제고(삼성생명) △EPC(설계·조달·시공) 경쟁력 강화(삼성물산) 등 사업부문별 3개의 TF를 운영 중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그룹을 총괄하고 미래 청사진을 그리기에 한계가 있다며 그룹 전체를 이끌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반론도 만만찮다. 미래전략실이 계열사 간 사업 시너지보다는 경영권 승계 등 오너일가의 이슈에 집중했다는 비판을 받아온 만큼 과거와 같은 역할을 할 우려가 있는 사령탑 부활은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준법위 내부에서도 컨트롤타워 부활에 관해서는 의견이 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컨트롤타워 부활에 관한 결론이 나려면 적잖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조명현 고려대 경영학 교수는 “컨트롤타워가 생긴다면 과거 미전실을 둘러싼 부정적인 이슈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계열사 간 사업 시너지 창출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2기 준법위는 일상적인 현안을 챙기면서도 지배구조 개선 등 핵심과제에 성과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이찬희 위원장은 “이제 준법위가 정착 단계에 들어섰다”며 “내실을 기하면서도 주어진 과제인 지배구조 개선이나 삼성의 전체적인 준법경영을 확실히 정착시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