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 尹정부 전력 거래시장 개편방안 제시

김형욱 기자I 2022.07.14 14:41:47

13일 여수 전력시장 워크숍 성료
"2001년 수립 현 체제론 유지에 한계
신·재생 발전량 확대 고려 개편해야"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국내 전력 시장과 계통 운영을 전담하는 준정부기관인 한국전력거래소가 전력 거래시장 개편 방안을 제시했다. 윤석열 정부가 ‘경쟁과 시장원칙에 기반한 전력시장 구축’을 110대 국정과제(21번째)로 채택한 가운데, 시장 개편이 실제 어떻게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김진이 한국전력거래소 실시간시장 팀장이 지난 13일 전남 여수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력시장 워크숍’에서 전력시장 운영 제도 개편 방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전력거래소)
전력거래소는 지난 13일 대한전기학회와 함께 전남 여수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전력시장 워크숍’을 열고 전력 중앙계약시장과 실시간 시장, 예비력 시장, 수요자원 시장, 직접 PPA(전력판매계약) 제도 등 분야별 실무진이 현황과 제도개편 방안을 제시하고 전문가와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14일 밝혔다.

국내 전력시장은 1962년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생산(발전)부터 공급(송·배전), 판매까지 도맡아 왔으나 2001년 이후 생산 부문은 6개 발전 공기업과 민간 발전사로 분할하고, 준정부기관인 전력거래소가 발전사와 한전 간 거래를 담당하는 형태로 개편하며 전력 도매시장이 탄생했다.

최근 들어선 탄소중립이라는 목표 아래 태양광·풍력 등 다수의 신·재생 발전 사업자가 소량의 전력을 생산해 판매하는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한전이 독점해 온 소매 시장 체제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한전을 거치지 않은 직접 PPA 제도를 도입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직접 PPA도 실질적으론 거의 계약으로 연결되지 않아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중이다.

김홍근 전력거래소 탄소중립본부장은 이날 행사 축사에서 “국내 전력시장은 2001년 탄생 이후 그 규모가 엄청나게 커졌고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가 빨라지며 이에 부합한 전력시장 제도기 필요해졌다”고 말했다.

윤호현 전력거래소 선도시장팀장은 저탄소 중앙계약시장 도입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전력거래소는 기존 도매시장과 별개로 빠르게 늘어나는 신·재생 발전 전력만을 위한 저탄소 생산 전력을 위한 별도 시장 도입을 구상하고 있다. 또 옥기열 시장혁신처장은 발전소의 계통 안정성 등을 고려치 않는데다 현 비용기반(CBP, Cost Based Pool) 체제 기반 전력시장에는 한계가 있다며 신·재생 발전원 보급 확대를 고려한 미래 전력시장의 다원화 필요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밖에 담당 부서별로 실시간 시장 및 예비력 시장 설계 방향과 직접 PPA 운영 방향, 전력 사용 저감 실적을 거래하는 수요자원 시장 운영현황 및 제도개편 방향도 논의했다. 김성수 한국공학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를 비롯한 외부 전문가가 참여한 토론도 이어졌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이번 워크숍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이 새 정부 전력분야 국정과제와 에너지 정책 방향 적극 이행을 위한 출발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