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단일대오' 무색…서울대 비대위 "의협과 조건 다를 수 있어"

최오현 기자I 2024.06.14 18:08:53

서울대 의대·병원 비대위 14일 기자회견
'상설 의정협의체' 요구…"전공위 복귀 가장 중요"
진료 거부 동참 의사 최소 200여명

[이데일리 최오현 기자] 서울대의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전면 휴진과 관련해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뜻이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는 있을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면 휴진 방향성은 같이 하지만 정부에 내거는 조건 등은 각자 달라질 수 있단 설명이다. 전날 의협이 의료계가 ‘단일대오’해 한 목소리를 내는 창구로서 역할을 하겠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조건이 다를 순 있다고 말한 것이다.

서울대의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은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최오현 기자)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면 휴진 진행 상황 등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강 위원장은 “의협이 의료계 대표 창구는 맞다”며 “의협이 제시하는 조건은 다 동의한다”고 말했다. 다만 “뜻이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며 “18일 휴진 건은 ‘단일대오’로 말씀드린 것이 맞고, 오늘 기자회견서 말씀드린건 17일부터 진행되는 서울대병원 행동에 대한 말씀”이라고 설명했다.

오승원 비대위 홍보팀장도 휴진과 관련해 “의협과 논의를 한 건 아니다”라며 “저희가 먼저 휴진에 대한 얘기를 알려드렸고 조건도 상의해서 결정한건 아니고 저희 입장의 조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희는 가장 중요한게 전공의 들어올수 있는 환경이 돼야한다는 것이고 그게 의협의 조건과는 다를 수 있을거 같다”고 덧붙였다.

그렇다보니 의협의 발언이 무색하게 의료계 내 직역마다 요구안은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내부 요구안도 조금씩 변하고 있는 상황이다. 비대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상시적 의정협의체’ 마련을 요구했다. 법적으로 기구의 설치 근거와 재정적 지원을 보장해 달란 것이다. 앞서서는 전면 휴진 철회 조건으로 모든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를 조건으로 내걸기도 했다. 의협은 휴진 의사 철회를 위한 요구안을 아직 제시하지 않았다.

강 위원장은 “전면 휴진 철회는 전체 교수 의견 들어봐야겠지만, 의료인의 직업 선택의 자유를 포함한 존중·신뢰를 보여준다면 저희도 빨리 (휴진을) 접거나 할 수 있을거 같다”면서도 “ 제가 할 수 있는게 아니니까 그게 뭔지는 아직도 사실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비대위가 전공의 복귀를 위한 여러가지 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복귀는 전적으로 전공의 의사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제시하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전공의들이 복귀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에 전면 휴진 및 요구안들이 당위성을 잃은 것 아니냐는 지적에 비대위는 “사실 교수들도 더 이상 견디지 못해 대학병원을 떠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더 이상 기다려도 나올게 없는 상황이라 이렇게까지 하게 된 것”이라고 답했다.

비대위는 현재까지 휴진에 참석하겠단 의사를 밝힌 교수들을 200여명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 오 팀장은 “휴진 참여율을 파악할 여유가 없고 병원 시스템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라면서 “진료 예약 변경을 요청한 교수들은 그동안 200명 정도”라고 설명했다. 휴진에 나선 교수들은 직접 환자에게 진료 연기 등을 안내하고 있는데, 비대위가 이를 돕고 있다. 병원장이 전면 휴진을 불허한 상황에서 병원 내 예약 및 진료 알림 등을 전담하는 팀에서 담당 업무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서울대병원을 시작으로 대형종합병원이 연쇄적으로 전면 휴진을 예고한 상황에 대해서 강 위원장은 “이런 것을 기대한 건 아니다”라며 “환자들이 갈 곳이 있도록 한편으론 저희랑 같은 기간 휴진하는 곳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 위원장은 이날 환자들에게 “정부를 향한 부르짖음이 서울대병원만을 믿어오신 중증·희귀질환 환자분께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며 사과하며 ”진료실이 완전히 닫히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