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新한일전쟁]충청권 지자체들, 지역기업 피해 최소화 '부심'

박진환 기자I 2019.08.05 13:19:55

충남도, 위기대책본부 가동·소재부품산업 육성에 박차
대전시, 경제5단체와 피해기업 전수 조사·대응팀 구성
핵심 소재·부품·장비 등 국산화 위해 행정·재정적 지원

양승조 충남도지사가 5일 충남도청사에서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등 수출 규제 및 경제보복 조치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충남도 제공


[대전·홍성=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 등 충청권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제위기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등 일본의 경제보복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특히 충남도는 지역이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수출 전진기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금융 지원을 늘리고, 소재부품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5일 충남도청사에서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등 수출 규제 및 경제보복 조치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충남도는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점검 및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일본수출규제대책 상황실을 설치, 현 상황에 대응하면서 기업인과 경제단체 등이 참여하는 비상경제상황점검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한다.

또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대책본부를 꾸리고, 기업 지원과 산업 대책, 예산·세정 지원 등 6개 분야별 대책반을 운영하기로 했다.

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피해접수창구를 상시 운영하며, 기업의 어려움을 듣고 지원 방안을 강구한다.

이와 함께 연구개발(R&D) 과제 수행 지원 창구를 운영해 도내 기업이 중앙정부 공모 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기획 아이템 과제 작성 등 컨설팅을 지원할 방침이다.

일본 수출 규제로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에는 무담보 대출 자금 81억원을 긴급 지원하고, 5200억원의 중소기업육성자금도 적극 활용한다.

여기에 지방세 납부기한 연장, 징수 유예, 세무조사 유예 등 지방세 특례제한법에 따른 세제 지원도 적극 추진한다.

중장기 대책으로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들이 핵심 소재·부품·장비 등을 국산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위한 ‘충남도 소재산업 지원조례’ 제정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사업을 통해 핵심 소재·부품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융복합·차세대·혁신소재 개발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양 지사는 “지금 우리가 위험의 요소를 제거하고, 이를 기회로 반전시켜 나아간다면 정신과 문화는 물론 경제마저 우월한 위대한 대한민국이 될 것”이라며 “항일과 독립운동의 정신적 본향으로서 우리 충남이 앞장서 위기 극복의 대열을 이끌어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사진 오른쪽)이 2일 대전시청사에서 경제5단체 합동 긴급 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도 지역 기업들에 대한 피해 지원방안 및 대응책 마련을 모색 중이다.

대전시는 지난 2일 허태정 대전시장 주재로 ‘대전시·경제 5단체 합동 긴급 경제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대전상공회의소,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융합대전충남연합회,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한국무역협회대전충남지회 등 5개 경제단체와 대전경제통상진흥원, 대전테크노파크, 대전신용보증재단,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등 대전시 산하 출연기관들이 참여했다.

대전시는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피해상황 점검 및 대응팀을 구성하고, 경제 5단체 회원사의 협조를 받아 피해기업 전수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 대전경제통상진흥원에 개별기업을 대상으로 한 상시 피해접수 창구를 운영하고, 구매조건 생산자금 50억원을 특별 배정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번 일본 각의결정으로 인한 지역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 기회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수입선 다변화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소재 산업육성을 통해 일본으로부터의 기술독립을 이뤄낼 수 있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