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협상은 2년 만에 열렸다. 이는 2013년 도입한 원유 기본가격 연동제에 따른 것이다. 연동제에 따르면 원유 기본가격은 매년 5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우유 생산비의 10% 내외에서 정한다. 다만 우유 생산비 증감률이 ±4% 이상일 경우에만 협상을 통해 조정한다. 증감률이 ±4% 미만이면 2년마다 협상이 이뤄진다. 2018년 우유 생산비가 775원으로 2017년(767원) 대비 1.1% 증가해 지난해에는 협상 테이블이 마련되지 않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유 1ℓ당 생산비는 790.06원으로 전년대비 2% 증가했다. 이에 지난해 협상을 진행하지 않았다. 올해는 무조건 협상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원유기본가격 조정 협상위원회는 2018년과 2019년 증가한 생산비를 누적한 금액인 ℓ당 23.87원에 ±10%를 적용한 금액인 21~26원을 인상 범위로 정해 협상을 진행 중이다.
2년 만에 마련된 협상 테이블에서 마주한 양측의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낙농업계는 원유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무허가 가축사 적법화 등 정부의 환경규제에 맞춰 투자비용이 늘었고, 사료값 상승으로 경영부담이 가중되고 있어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낙농가의 경영비는 전년대비 2% 상승했다. 사료값 상승 등의 영향이다. 이에 따라 낙농가의 젖소 1마리당 순수익은 전년대비 1.3% 감소했다.
유업계는 가격 동결 또는 인하를 주장한다. 코로나19로 우유 소비가 줄어든 상황에서 원유 가격 인상은 우유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유제품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지난 2018년 원유 가격이 ℓ당 4원 오르자 서울우유와 남양유업은 각각 3.6%, 4.5%씩 제품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특히 올해는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학교 급식 우유 공급 중단됐다. 이 기간 600억원 규모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관련 업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원유의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 우유뿐만 아니라 치즈, 빵, 과자 등 관련 제품의 가격도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저출산으로 우유 산업 자체의 위기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원유가격 인상은 더 힘든 상황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