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글로벌 교역 부진기, 시장별 유망품목 수출은 늘었다

정태선 기자I 2015.10.01 15:07:21

세계 소비재 수입시장 확대
韓 소비재 수출상품의 고부가가치화해야

[이데일리 정태선 기자] 올해 수출 부진이 9개월째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 유망 지역은 미국, 유망 품목은 중간재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세계 교역이 급격히 둔화한 가운데 주요 수출 유망 품목은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유망품목 325개 중 최근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미국이 186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중국 78개, 일본 34개, 유럽연합(EU) 27개 등으로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중간재가 165개로 전체 수출 유망품목의 절반 가량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자본재 82개, 소비재 68개 등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의 경우 건강보험개혁법(오바마 케어) 실행, 셰일오일 호황 등으로 면역 관련 물품, 고정식 축전기, 화물 수송용의 트레일러, 자동차용 차체 부품·엔진 등의 수출이 유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은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시행과 식품 안전사고에 따른 한국 식품 인기 등으로 페로니켈, 규소, 석유수지, 설탕·무알콜 음료, 오븐 등의 수출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EU는 건설 경기 회복으로 철강 관, 전자동식 용접기기, 공작기계 등이 유망 품목으로 꼽혔다.

일본은 화력발전소 건설 및 노후화된 발전소 유지보수, 공장 자동화 시스템 구축 등으로 철강 구조물, 구동 차축, 오실로스코프, 체크 밸브 등이 유망한 것으로 분석됐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2011년 유럽 재정위기 이후 세계적으로 소비재 수입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소비재 수출 확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의 주요국에 대한 소비재 수출 비중도 상승세로 올 1~5월 대미 소비재 수출 비중은 28.4%로 전년보다 2.6%p 확대됐다.

▶ 관련기사 ◀
☞ 김인호 무역협회장 "업계 애로사항 정부에 적극 건의할 것"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