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특허 빅데이터센터` 문 열었다…신산업 투자·R&D 전략 제공

박진환 기자I 2020.06.18 14:00:00

특허청, 특허전략원서 국가 특허 빅데이터 센터 개소
AI·미래차 등 10대 주력·17대 신산업 등 핵심정보 제공
공공·민간에 다양한 특허정보 제공 온라인플랫폼 구축

박원주 특허청장(왼쪽 9번째), 김용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혁신실장(왼쪽 8번째), 김태만 한국특허전략개발원장(왼쪽 10번째), 정양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왼쪽 11번째), 이재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왼쪽 13번째), 석제범 정보통신기획평가원장(왼쪽 7번째), 석영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왼쪽 12번째), 홍장원 대한변리사회 회장(왼쪽 6번째) 등 주요인사들이 국가특허빅데이터센터 현판식을 마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특허청 제공


[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정부가 전 세계 4억 5000만건의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 미래 먹거리 산업의 투자 및 연구개발(R&D) 전략을 제공한다.

또 중앙행정기관과 공공기관, 정부출연 연구기관, 민간기업 등과 협업 시스템을 구축해 유망 특허 및 기업 발굴·투자 등에 협력사업도 강화하기로 했다.

특허청은 18일 서울 강남의 한국특허전략개발원에서 ‘국가 특허 빅데이터 센터’ 개소식을 갖고,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특허 분석에 기반한 미래 유망기술 발굴 및 육성전략 수립을 본격 추진한다.

전 세계 4억 5000만건의 특허를 다각적으로 분석하면 경쟁 국가나 기업의 경쟁력과 투자방향을 진단·예측하고, 우리의 연구개발(R&D) 방향, 투자방향, 시장진출 전략 등을 도출할 수 있다.

이에 특허청은 특허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국가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국가 특허 빅데이터 센터’를 출범했다.

특허 빅데이터 센터는 2022년까지 인공지능(AI)과 미래형자동차 등 17대 신산업, 조선·화학 등 10대 주력산업, 국민생활과 밀접한 사회문제에 대해 산업별 특허동향 모니터링·분석, 산업·기술별 핵심 정보를 생산 제공할 계획이다.

지난해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수소산업, 시스템반도체, 차세대전지 등 5대 분야에 이어 올해는 AI, IoT가전, 신재생에너지, 미래형자동차, 무인비행체 등 5개 신산업 분야에 대해 미래 유망기술 등 특허 빅데이터 기반의 산업혁신전략을 제공한다.

또 감염성 질환·기후변화 등 사회문제에 대한 특허분석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 기후변화 대응 기술 등 사회현안에 대한 기술적 해결방안도 제시할 예정이다.

올 하반기부터는 국내외 여러 기관에 산재된 다양한 특허분석결과를 수집해 공공·민간에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도 갖춘다.

온라인 플랫폼은 특허분석으로 발굴된 핵심 특허나 기업 정보를 금융기관이나 투자자에 제공해 투자 유망 지식재산 및 기업 발굴을 지원하게 된다.

특허 빅데이터 센터에서의 특허 분석 결과는 업종별로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산업 지능화를 비롯해 특허 유망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기술 R&D를 기획할 경우에도 적극 활용된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하면 경쟁 국가·기업의 투자방향을 진단·예측하고, 산업·기술 혁신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면서 “국가 특허 빅데이터 센터가 민·관 협력을 통해 국가 차원의 미래 R&D 전략을 수립하고, 미래 유망기술을 발굴해 우리나라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허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