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靑 “대통령 집무실 광화문 이전 사실상 ‘백지화’…장기사업 검토”

김성곤 기자I 2019.01.04 15:48:23

4일 역사성, 보안, 비용 종합검토 결과 文대통령에 보고
유홍준 “영빈관·본관·헬기장 등 주요 기능 대체부지 찾을 수 없다” 결론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사업 마무리 이후 장기사업으로 검토”

[이데일리 김성곤·원다연 기자] 청와대는 4일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 정부청사 이전을 사실상 백지화하고 장기 사업으로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 청사 이전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었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365일 국민과 소통하는 열린 대통령을 취지로 집무실을 정부청사로 이전하고 청와대와 북악산을 시민휴식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4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에서 “지난 대선 당시 국민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 이전과 청와대 개방을 공약하고 이후 국정과제로 선정해 추진한 바 있다”며 “유홍준 자문위원과 승효상 건축가 등 전문가들은 오늘 오후 역사성, 보안, 비용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를 대통령께 보고드렸다”고 밝혔다.

광화문시대준비위원회 자문위원인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 “현 단계에서 집무실을 광화문 청사로 이전할 경우 청와대 영빈관, 본관, 헬기장 등 집무실 이외 주요기능 대체 부지를 광화문 인근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특히 “청와대 개방과 집무실의 광화문 이전은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사업 마무리된 이후에 장기적인 사업으로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서울시와 문화재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 전 청장은 “대통령께서 광화문 대통령을 하겠다는 뜻은 국민과의 소통과 청와대 개방 두 가지가 기본 기조였다”며 “청와대 개방은 경복궁, 청와대, 북악산을 연결해 청와대의 광화문이 아니라, 광화문을 청와대 안으로 끌어들이는 확장 개념으로 북악산 정축으로 올라갈 수 있는 방법으로 추진하기로 했다”며 “이 문제는 관저 이전까지를 포함해서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는 동선을 경호처와 함께 검토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광화문시대위원회는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이러한 사업은 실무부서를 통해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사업 설계공모 결과 발표는 오는 21일에 이뤄진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