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안 스마트한 스마트폰 사용자` 암기 전화번호 평균 7.2개

김민화 기자I 2013.09.02 17:03:39

`30대` 암기하는 전화번호 수 평균 6.8개로 가장 낮아

[이데일리 김민화 기자] “댁 전화번호는 외우고 계십니까?” 스마트폰이 대중화 된 요즘, 만약 스마트폰을 분실했다면 기억할 수 있는 전화번호는 과연 몇개나 될까?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가 스마트폰 사용자 529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자 스마트한가?`란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암기하고 있는 전화번호 수’가 평균 7.2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암기하고 있는 전화번호 수는 연령이 높은 40대 이상 사용자가 가장 많았다. ‘40대 이상’ 사용자가 평균 8.8개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20대’가 7.0개, ‘30대’가 6.8개 순이었다.

‘스마트폰이 삶을 스마트하게 만들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61.4%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38.6%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스마트해진 부분(*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정보검색의 신속성’이 응답률 8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빠른 업무처리 속도(35.1%) △다양한 소통 창구(28.9%) △엔터테인먼트의 풍성함(14.2%) △지식 량 증가(9.2%) 순이었다.

스마트하지 않다고 답한 이유에 대해서는 ‘중독된 듯 늘 스마트폰을 끼고 있다’가 응답률 50.0%로 절반을 차지했다. 이어 △머리보다 손이 우선한다(43.6%) △빠른 것에 익숙해져 인내심이 부족해진다(39.7%) △신상정보 노출이 쉬워졌다(23.5%) △방대한 정보량으로 올바른 정보 찾기가 힘들다(13.7%) △기타(2.0%) 순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주로사용 하는 기능은 무엇일까?

응답자의 과반수인 58.6%가 ‘채팅·문자’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뉴스기사검색(39.1%) △음악(38.2%) △메일확인(30.4%) △전화(30.4%) △게임(27.0%) △동영상 보기(12.9%) △블로그 검색(11.5%) △메모(6.8%) △전자책 읽기(5.1%) △교육학습(4.7%) △기타(2.8%) 순으로 나타났다.

김화수 잡코리아 사장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삶이 많이 편리해 진 것이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최근 기억력과 계산능력이 감퇴하는 ‘디지털치매(Digital Dementia)’ 현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에 너무 의존하는 것은 피하고 올바른 활용법을 찾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 관련기사 ◀
☞ 직장인, 가장 기피하는 `추석 선물`은? 역시 `현금`이 최고
☞ 직장인 80%, 조건 맞으면 `희망퇴직` 받아들여..최소조건은?
☞ 직장인, 회식 애창곡 1위는? `내가 필요할 때 나를 불러줘~`
☞ 직장인, "다시 일상으로.." 휴가 후유증 극복 방법은?
☞ 직장인 대체휴일제 환영 이유 1위, '귀차니즘 휴식' 제친 '이것'은?
☞ 이직희망 직장인에게 휴가란? 이직준비의 타이밍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