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연세대 의대 "휴학 승인 불가피"…대학가 확산 '촉각'

김윤정 기자I 2024.05.22 15:56:59

이은직 연대의대 학장 "의대생 휴학 승인 임박"
의대 37곳 수업 재개에도 돌아오지 않는 의대생
"탄력적 학사운영안도 학생들 안 오면 무용지물"
정부 "동맹휴학, 휴학사유 될 수 없단 입장 불변"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연세대 의과대학이 수업을 거부 중인 의대생들의 휴학을 승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의대생 단체가 교육부의 대화 제안을 사실상 거부하고 복귀 시점을 스스로 결정하겠다고 밝히면서 이런 움직임이 다른 대학으로도 확산할지 주목된다.

지난 15일 대구 경북대 의대 강의실이 비대면 수업으로 텅 비어있다. (사진=뉴시스)
22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은직 연세대 의대 학장은 지난 20일 소속 의대교수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학생들 복귀에 대비해 마련된 대책들은 학생들이 강의실로 돌아오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학장은 이어 “전체교수회의에서는 올바른 의학교육을 견지하기 위해 어느 시점에서는 휴학을 승인할 수밖에 없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했다.

전국 의대생들은 정부의 증원 정책에 반발해 2월 하순부터 동맹휴학·수업거부 등 집단행동을 이어오고 있다. 서울고법의 기각·각하 결정 이후 내년도 의대정원 증원 절차가 사실상 확정됐지만 여전히 의대생들은 수업에 복귀하지 않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 20일을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 전체 의대 40곳 중 37곳이 수업을 재개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출석률은 여전히 저조하다. A국립대 관계자는 “집행정지 결정 이후 의대 증원을 학칙에 반영하는 절차를 진행 중이지만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오려는 움직임이 없어 답답하다”고 말했다. 대부분 대학은 수업일수의 3분의 1 또는 4분의 1 이상 결석하는 학생에게 F학점을 주는데 의대의 경우 한 과목이라도 F를 받으면 유급된다.

앞서 운영 40개 대학 중 37곳은 지난 10일 교육부에 집단 유급 방지책을 제출했다. 학생들의 수업 거부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개강을 최대한 미루고 2학기와 연계해 수업 기간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이같은 방지책을 곧바로 학사운영에 적용하긴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 B사립대 관계자는 “여러 유급방지책을 제출하긴 했지만 본부 내 학사·재무·재무팀과도 협의해야 해 실제로 실행하기에는 난감한 상황”이라고 했다.

연세대에 이어 의대생들의 휴학을 승인하는 대학이 또 나올지도 주목된다. C사립대 의대 관계자는 “동맹휴학은 불허한다는 교육부 입장이 완강해 당장 승인할 분위기는 못 된다”면서도 “도저히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휴학승인은 불가피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모든 대학의 사정이 비슷하지만 동맹휴학을 승인하는 첫 사례로 주목받고 싶지 않아 다들 눈치만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학들은 의대생 동맹휴학을 승인할 경우 교수들의 수업 부담은 가중되지만 의대생들에게 돌아가는 불이익은 최소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급과 달리 휴학은 제적 위험성이 없으며 등록금도 돌려받을 수 있어서다.

교육부도 연세대 의대의 휴학 승인 입장이 대학가로 확산할까 예의주시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동맹휴학은 정당한 휴학 사유가 될 수 없다는 정부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