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옛 대전부청사, 철거 위기서 원도심 문화·예술중심지로 재탄생

박진환 기자I 2023.09.25 16:09:23

1937년 대전시 첫 청사 행정·산업 담당… 보존VS개발 갈등
대전시, 2026년까지 복원·보수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건립
옛 충남도청사 등 연계 세계적 역사문화예술관광벨트 조성

1950년대 촬영한 옛 대전부청사 전경.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대전지역 문화재가 시민들에게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기폭제로 활용된다. 이는 서울시와 인천시, 부산시 등이 미술·박물관, 청사 등으로 사용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대전시는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복안이다.

대전시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대전의 핵심 행정·산업·문화공간의 역할을 담당했던 옛 대전부청사 건물을 매입,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조성한다고 밝혔다. 옛 대전부청사 건물은 1937년 건립된 대전시의 첫 시청사이며, 1959년 대흥동 청사(현 중구청사)로 시청사가 이전한 이후에는 대전상공회의소로 활용돼 대전의 랜드마크이자 시민들의 사랑을 받은 추억의 공간이었다.

대전 중구 은행동에 위치한 대전부청사 전경. (사진=대전시 제공)


그러나 옛 대전부청사는 1966년 민간에 매입된 후 수차례 소유주가 변경되면서 보존과 개발 사이에서 운명의 갈림길을 맞이해왔고, 최근에는 오피스텔을 신축하는 건축계획이 접수되는 등 철거 위기에 놓였다. 이에 대전시는 옛 대전부청사를 매입한 후 보존한다는 방침을 수립했다. 또 옛 테미도서관은 제2문학관으로, 옛 한국전력공사 대전보급소는 대전학(大田學)발전소로 재탄생한다. 이 중 옛 한전보급소는 대전지역 최초의 근대적 산업시설로 1930년 일제강점기 대전에 첫 전기를 공급했던 대전전기 제3발전소로 건립됐다. 대전시가 구상 중인 대전학발전소는 대전의 역사 관련 각종 자료와 기록물을 수집·정리하고, 시민에 제공하는 대전학 교육·아카이브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대전 중구 은행동에 위치한 옛 대전부청사는 연면적 2323㎡(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총사업비 440억원을 들여 2026년 상반기까지 복원 및 보수 작업을 거쳐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건립된다. 옛 대전부청사는 근대 모더니즘 양식을 반영한 철근콘크리트조 건물로 당시 기술적으로 적용하기 힘들었던 비내력벽 기법과 수직창, 벽면 타일 마감, 높은 층고의 옛 공회당 등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향후 국가문화유산 등록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는 장소·역사·건물적 가치를 그대로 살려 원도심 내 부족한 문화예술공간을 확충하고, 일부는 대전역사관 등으로 조성해 대전의 근·현대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옛 대전부청사가 있는 은행동 일대는 젊은 세대가 많이 찾는 곳이면서 인접 거리에 성심당 유명 빵집 등이 있어 원도심 근대문화유산 관광지로도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문화유산 복원을 통한 원도심 내 관광자원 확보로 문화·예술 향유 기회가 늘고, 경제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또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으로 대중의 문화예술 참여를 강화하고, 접근성을 높여 대중 문화예술 참여 확대와 예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노기수 대전시 문화관광국장은 “옛 충남도청사에 건립될 국립현대미술관부터 옛 대전부청사를 거쳐 목척교, 소제동 관사촌, 이종수미술관, 헤레디움(옛 동양척식 주식회사), 테미오래 관사촌, 제2문학관까지 연계, 이 일대는 중앙부처와 대전시, 민간이 함께 조성한 대전의 새로운 역사문화예술 관광벨트가 될 예정”이라며 “1937년 건립된 대전시의 첫 시청사이자 1959년 이후 대전상공회의소로, 대전 행정 및 경제 1번지였던 옛 대전부청사를 다시 매입해 보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건립당시의 모습으로 원형 복원하는 한편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조성해 원도심 내 부족한 문화예술 인프라를 확충하고, 예술인들과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