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험악한 고함에 삿대질까지 난무한 여야 현안질의

김정남 기자I 2014.12.15 14:58:31

"야당이 또 시작이구나" "뭘 좀 알고 나오셔야지"
연말정국 가시밭길 불가피‥'2+2' 합의 깨질 수도

[이데일리 김정남 강신우 기자] “(비선실세 논란을 틈타) ‘야당이 또 시작하는구나’ 생각했다.”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

“(최경환 부총리는) 뭐를 좀 알고 나오셔야지. 공부 좀 하세요.” (노영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15일 국회에서 12월 임시국회의 시작을 알리는 긴급현안질의가 진행됐다. 비선실세 논란과 자원외교 의혹 등 전·현 정권을 정면으로 겨냥하는 민감한 이슈들이 공개석상에서 처음으로 올려졌다. 분위기는 시작부터 험악했다. 여야가 내세운 ‘저격수’들의 질의가 나오자마자 고성과 삿대질이 난무했고 서로에 대한 노골적인 비난도 서슴없이 표출됐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예상보다 여야 간 긴장수위가 더 높았다”고 했다.

◇“야당이 또 시작” “뭘 좀 알고 나오셔야”

‘종북 저격수’로 불리는 김진태 의원은 이날 오전 현안질의에서 야당을 맹비난했다. 그는 “야당은 (비선 논란이 불거진) 이번 기회를 놓칠세라 진상조사단을 내세워 언론보도를 짜깁기한 수준의 주장을 하고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종북 공격도 했다. 그는 “선거에서 이기기 위해서라면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부정하는 정당(통합진보당)에까지 손을 뻗치는 게 제1야당의 현주소”라면서 “이러니 ‘종북숙주’ 소리를 듣는다”고 질타했다. 김 의원의 발언 수위가 높아지자 본회의장에 있던 야당 의원들은 “현안질의만 해라” “창피한줄 알아라” 등으로 소리쳤다.

곧이어 나온 노영민 의원은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서로 고함을 지르면서 입씨름을 벌였다. 노 의원은 새정치연합의 자원외교진상조사위원회 단장이며 최 부총리는 이명박(MB)정부 당시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었다.

노 의원=(이명박정부의 해외자원개발사업에) 개입이나 지시를 한 적이 있느냐.

최 부총리=없다.

노 의원=당시 석유공사 사장은 올해 국정감사에서 (캐나다 하베스트그룹의 자회사인) ‘날(NARL)’의 인수를 최 부총리에게 직접 보고했고 동의를 받았다고 했다.

최 부총리=당시 사장이 토요일 오후 늦게 5분정도 만나서 사정변경을 알려왔고 제가 경험이 없으니까 리스크를 잘 감안해서 하라는 취지로 답변했다. 취임한지도 얼마 안됐고 날이라는 회사를 듣도 보도 못했는데 하라마라 할 수는 없지 않느냐.

노 의원=(고성) 그럼 그런 증언을 한 석유공사 사장을 위증죄로 고발하라.

최 부총리=(고성) 고발하겠다. 그런 정치공세는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둘은 참여정부와 MB정부의 자원외교 현황을 두고도 설전을 이어갔다. 노 의원은 이 과정에서 최 부총리를 향해 “공부 좀 하라”고 했고 최 부총리는 곧바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말하라”고 맞받으면서 긴장감이 고조됐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지난 1999년 옷로비 사건에 연루됐던 박주선 새정치연합 의원의 질의에서도 고성이 나왔다. 박 의원이 검찰수사의 신뢰성을 언급하면서 특검을 주장하자 황교안 법무부 장관은 “의원님이 검찰과 악연이 있어서 그렇게 생각하겠지만“이라고 했다. 그러자 박 의원은 고함을 치며 ”내가 악연을 갖고 얘기한다고?“라고 발끈했다.

오후 들어서도 긴장은 계속됐다. 이장우 새누리당 의원은 “당초 야당은 ‘종북토크쇼’를 열기로 했다가 지도부가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자 취소했다”면서 “그런데 일부 의원들이 거세게 반발했다고 하는데, 이게 새정치연합의 당론인가”라고 질타했다.

◇연말정국 가시밭길 불가피‥‘2+2’ 합의 깨질 수도

상황이 이렇자 연말 여의도 정가는 가시밭길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청와대 문건을 유출한 혐의로 검찰수사를 받은 서울경찰청 최모(45) 경위가 숨진 채 발견되면서 정국의 긴장감은 더 커지고 있다.

당장 지난 10일 당 대표·원내대표가 나서서 의견을 조율한 ‘빅딜’ 합의가 얼마 못가 깨질 수도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레 나온다. 여야는 △공무원연금 개혁과 자원외교 국정조사의 시기상 일치 문제 △자원외교 국정조사의 대상 문제 등 합의의 세부사항을 놓고 대립하고 있다. 비선실세 논란의 수사주체 문제도 논쟁거리다.

여야 원내지도부는 이날부터 실무협상을 이어가면서 조율한다는 방침이지만 순조롭게 합의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