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 민영방송 전환 공식화…"지원 폐지 한기적 연기 요청"

양희동 기자I 2023.11.27 15:20:21

TBS, 민영화 준비 위한 최소한 시간 필요
''지원 폐지조례'' 내년 1월1일 시행 한시적 연기 요청
희망퇴직 실시 등 인력 운용 효율화 노력 중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TBS가 민영방송 전환을 공식화하며 내년 1월 1일 시행 예정인 ‘TBS 지원 폐지 조례’ 시행의 연기를 서울시와 서울시의회에 공개적으로 요청했다.

TBS는 27일 입장문을 통해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는 내년 1월 1일 자로 ‘TBS 지원 폐지 조례’ 시행을 앞두고 내년부터 더 이상 서울시의 예산 지원을 받지 못하게 돼 존폐위기에 서 있다”며 “TBS는 민영방송사로 새로 태어나고자 한다”고 밝혔다. 다만 TBS는 효율적인 조직 재구성 등 민영화 준비를 위한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TBS는 “자립을 위해 조직을 합리적으로 재정비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예산과 사업은 과감히 청산해 나갈 것”이라며 “지원 폐지조례 시행의 한시적인 연기를 다시금 서울시 및 서울시의회 의원님들께 간곡히 요청한다”고 전했다.

최근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30명은 TBS 지원 폐지를 당초 예정된 내년 1월 1일이 아닌 2026년 7월 1일로 연기하는 취지의 조례안을 최근 공동 발의한바 있다.

TBS는 서울시의 지원 폐지를 계기로 조직을 재정비하고 희망퇴직을 실시하기로 했다.

한편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6일 서울시의회 제321회 정례회 2차 본회의에 참석해 “TBS는 민영화 문제를 포함해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제도적으로 편파·불공정 방송을 원천적으로 제한, 최소화할 수 있는지 검토해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서울시는 서울시의회에 TBS 지원 폐지조례 시행을 내년 1월 1일에서 7월 1일로 6개월 연장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TBS 독립경영을 위해 구조조정 등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오세훈 시장은 당시 본회의 발언을 통해 “이번에 시의회에 TBS가 6개월 정도의 정리할 수 있는 변화의 기회를 주고, 스스로 어떤 노력을 하는지도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요청을 드렸다”며 “민영화 문제를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제도적으로 편파·불공정 방송을 원천적으로 제한·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