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나이벡, 질병관리청 mRNA 전달 연구 국책과제 선정

김겨레 기자I 2022.04.19 15:08:57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기업 나이벡(138610)이 자체 개발한 약물 전달 플랫폼 ‘NIPEP-TPP’가 국내 방역당국의 국책과제에 선정돼 ‘mRNA(메신저 리보핵산)’ 전달 기술 실증 연구를 진행한다.


나이벡은 국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mRNA 전달 관련 연구’에 대한 국책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나이벡은 ‘NIPEP-TPP’의 우수한 타겟팅 능력과 강력한 약물전달 기술을 입증할 계획이다.

서울대 산학협력단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이번 과제는 mRNA 백신용 전달체로의 NIPEP-TPP의 적용 가능 여부와 기존 mRNA 백신 전달체로 잘 알려진 ‘지질나노입자(LNP)’와의 차별성에 대한 검증을 골자로 한다. 나이벡은 이를 통해 NIPEP-TPP를 활용한 백신 상용화 진입이 목표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는 항체를 만드는 물질인 항원 정보를 우리 몸에 주입하고, 이를 통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질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고 알려졌다.

다만, mRNA 및 ‘siRNA(짧은간섭 리보핵산)’ 등의 유전자는 인체 내부 진입 시, ‘뉴클레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원하는 치료 부위로 타겟팅 도달이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또, 타겟팅 부위로 도달하더라도 분자 크기가 커 세포막을 투과하지 못해 효능 극대화가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현재 mRNA 및 siRNA 전달에는 LNP가 주로 사용됐으나, 최근 코로나19로 LNP 기술이 적용된 mRNA 백신이 상용화하며 LNP 속 포함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성분에 의한 면역 반응(사이토카인 폭풍) 및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 반응) 등의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LNP를 대체할 새로운 전달체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NIPEP-TPP는 정밀한 면역체계 타겟팅이 가능해 현재 다양한 유형의 새로운 변종 코로나를 비롯해 여러 감염질환 예방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 단백질 조각인 펩타이드를 활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적다.

나이벡은 mRNA와 siRNA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전달 및 응용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며, 관련 특허 출원을 완료하고 종양연구에서 NIPEP-TPP가 적용된 유전자 약물 전달체 기술을 통해 LNP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NIPEP-TPP는 이미 독성 시험에서 안전성이 입증됐기 때문에 LNP에 의해 유발되는 간 독성이나, LNP에 도입된 PEG에 의한 사이토카인 폭풍과 아나필락시스 반응 등의 문제가 없다는 게 나이벡의 설명이다.

나이벡 관계자는 “mRNA 전달용 NIPEP-TPP는 LNP 대비 크기가 큰 mRNA와도 안정적으로 결합, 압축할 수 있는 기술이 부여돼 장기간 안정적인 나노입자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이미 확인했다”며 “mRNA가 포함된 NIPEP-TPP 수송체 미립자를 세포에 적용 시, mRNA의 확연한 세포 내 전달 증가와 mRNA에 의해 코딩된 단백질의 발현이 늘었음을 검증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