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尹 우크라 방문`에 野 "비상식적이고 무책임" 與 "국익 위한 것"

이수빈 기자I 2023.07.17 15:40:14

윤석열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깜짝 방문에
박광온 "국정 컨트롤타워로서 무책임" 비판
野 의원들 `러시아-우크라` 전쟁 불씨 튈까 우려
與선 "국익 위한 것, 국민이 이해할 것" 옹호

[이데일리 이수빈 경계영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국내 수해 상황 중 해외 순방을 연장해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것에 대해 여야는 상반된 평가를 내렸다. 야당은 “자기 나라 수해 현장보다 다른 나라 전쟁 현장이 우선”이라고 질책했다. 블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회담 내용을 두고는 한반도에 전쟁 불씨를 가져온 셈이라고 주장했다. 여당은 “국익을 위해 불가피하게 연장된 것”이라고 옹호했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오른쪽)와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제헌절인 17일 국회 의장 접견실에서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 컨트롤타워로서 대통령실의 상식적이지도 않고, 책임있는 자세도 아니다”라며 윤 대통령의 행보를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해외 순방 중 예고 없이 돌연 일정을 변경해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국내의 수해 상황이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조속히 귀국하지 않은 점을 집중 공격했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이 당장 서울로 뛰어가도 상황을 바꿀 수 없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며 “국회에서 발언의 경위를 확인하고 책임을 묻는 것을 잊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윤 대통령은 지난해 수해 때는 집으로 조기퇴근 하더니 이제는 대한민국이 통째로 물에 잠기는 상황에서 ‘생즉사 사즉생’ 정신을 현장에서 피부로 느끼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방문했다고 한다”며 “수재민의 아픔부터 피부로 느꼈어야 한다”고 일갈했다.

민주당 소속 국방위원회·외교통일위원회·정보위원회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방문이 한반도 정세를 위험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대통령의 책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인데 재난에는 보이지 않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로 가 우리 안보를 위기로 몰고 갔다”며 “우크라이나 방문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불씨를 한반도로 불러 대한민국을 위험에 빠트릴 수 있는 행보”라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우크라이나와 함께 결연히 싸우겠다는 말은 곧 러시아는 적대국이라는 말과 다름 없다”며 “러시아에 사는 우리 교민 16만 명과 160여 개 우리 기업도 위태로워 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회담 내용도 지적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안보지원, 인도지원, 재건 지원을 언급했다”며 “인도적 지원은 지난해 1억불에 이어 올해는 1억 5000만불이라 밝혔지만 안보지원, 즉 군사지원은 이번에도 ‘밀실’의 영역으로 남겨뒀다”며 “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할 것인지, 어떤 품목을 얼마나 지원할 것인지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 이는 대한민국 안보와 직결되는 문제”라며 해명을 요구했다.

반면 여당은 윤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방문이 국익을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이 수해 피해 속에서도 해외 순방 연장을 연장한 데 대해 “국익을 위해 불가피하게 연장된 것으로 국민이 이해해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윤 원내대표는 “우크라이나 초청으로 여러 국익을 위해, 또 우리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의에 참석하면서 국제적으로 대한민국이 해야 할 긴요한 역할을 하기 위해 일정이 불가피하게 연장됐다”며 “그 상황 자체가 중요한 외교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상황임을 국민이 이해할 것”이라고 봤다.

윤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방문으로 어떤 국익이 있을지에 대해 윤 원내대표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과 관련해 우리 측 기업이 참여해야 하고, 그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 정상 간 회담이 꼭 필요했다고 생각한다”며 “나토 회의 자체도 우리 국가 안보를 위해 우리와 가치를 같이 하는 국제적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미 예정된 일정이었고, 추가된 일정도 재건 사업 참여를 비롯한 경제적 이유가 있었고 또 인도적 지원을 비롯한 우리가 더 지원을 확실히 국제사회에 표명할 필요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