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6·17대책 약발 ‘아직’…서울집값 또 올랐다

강신우 기자I 2020.06.25 14:00:00

한국감정원 6월 넷째주 아파트 매매동향
서울아파트 매매가 0.06%, 전세가 0.08%↑
“매물 부족현상 지속되며 서울전역 상승”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6·17부동산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지만 전주 대비 상승폭이 소폭 축소했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자료=한국감정원)
25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6월 넷째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6% 올라 전주대비 0.01%포인트(p) 상승폭이 줄었다.

자치구별로 먼저 강북권에서 동대문구(0.09%)는 청량리 역세권(GTX-AB) 기대감 있는 지역 위주로, 노원구(0.08%)는 중계ㆍ월계동 중저가 단지 위주로, 강북구(0.07%)는 미아동 신축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했다.

강남권은 강남3구는 6·17 안정화대책에 따른 규제강화로 상승폭이 축소된 가운데 송파구(0.07%)는 허가구역 효력일 전 거래증가세 보였고 강남(0.05%)과 서초구(0.07%)는 도곡ㆍ반포동 등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강동구(0.07%)는 신축 위주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비강남권에서 양천구(0.13%)는 목동 및 신정동 위주로, 구로구(0.11%)는 구로ㆍ개봉동 역세권 위주로 올랐다.

감정원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과 개발호재(GBC·잠실MICE 등)영향 등으로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6·17 대책 및 강남권 허가구역 지정 등의 영향으로 상승폭은 축소했다”고 말했다.

인천은 부평구(0.59%)는 정비사업 및 교통호재(GTX, 7호선연장) 영향 있는 부개동 위주로, 연수구(0.53%)는 송도ㆍ연수동 위주로, 서구(0.39%)는 청라ㆍ신현동 신축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했다.

경기권에서 김포시(1.88%)는 한강신도시 위주로 매수문의 크게 증가하고 매물 감소하며 안산(0.74%)·구리시(0.62%)는 교통호재나 정비사업 기대감 있는 지역 위주로 올랐다. 수원 장안(0.58%)·팔달구(0.58%)는 교통호재 영향 있는 지역 위주로, 용인 기흥구(0.58%)는 영덕·동백동 등 중저가 단지 위주로 매수세를 보이며 상승폭이 확대했다.

한편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4%→0.17%)은 상승폭 확대, 서울(0.08%→0.08%)은 상승폭 동일, 지방(0.10%→0.11%)은 상승폭이 확대했다. 구체적으로 5대광역시는 0.13%에서 0.12%로, 8개도는 0.06%에서 0.08%, 세종은 0.69%에서 0.65%로 올랐다.

6·17 부동산 대책

- '주거사다리' 다시 놓으라는 文…무주택자 '화' 풀릴까 - 야권, 진보보수 가릴 것 없이 '文 부동산 정책' 맹공(종합) - 대치동 대신 도곡동…강남 속 '풍선효과' 커졌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