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의대 쏠림’에도 정시 선발 줄어…“경쟁 더 치열”

신하영 기자I 2023.11.03 14:44:09

전국 39개 의대 정시선발 1144명…전년대비 13명 감소
“의대 지역인재전형은 확대, 일반전형 경쟁 더 치열”
“소수점 차로 당락…수능 반영방법·가산점 확인해야”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수험생 사이에서 ‘의대 쏠림’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시 선발인원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
3일 진학사가 전국 39개 의대 정시 모집인원을 집계한 결과 1144명(정원 내 기준)으로 전년 대비 13명 줄었다. 모집군별 선발인원은 △가군 16개 대학 484명 △나군 15개 대학 498명 △다군 8개 대학 162명이다.

고려대 의대 교과전형 신설

선발인원의 변화가 가장 큰 곳은 고려대로 교과우수전형을 신설한 영향이 컸다. 고려대는 이번 정시에서 일반전형 27명, 교과우수전형 12명 등 총 39명을 선발한다. 그 외 경상국립대(-9), 충남대(-6), 경북대(-5), 성균관대(-5), 중앙대(-5) 등은 선발인원을 줄였다.

반면 지역인재전형 선발은 늘었다. 대학별로는 동아대(10→14), 조선대(26→32), 부산대(20→22), 제주대(6→8) 등에서 지역인재전형 선발인원을 확대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의대 선발 규모가 작아진 상황에서 지역인재 선발이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일반전형 선발이 축소됐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반대로 지역인재전형에 해당되는 수험생에게는 의대 진학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의대 정시모집에선 다수의 대학이 수능 100% 전형으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다만 서울대는 지난해부터 정시에서 교과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지역균형전형에선 수능 60%와 교과평가 40%를 반영한다. 일반전형에선 1단계에서 수능 100%를 반영한 뒤 2단계에서 수능 80%와 교과 20%를 반영해 합격자를 가린다. 고려대도 일반전형에선 수능 100%로 신입생을 뽑지만 신설된 교과우수전형에선 학생부 교과성적을 20% 반영한다.

아주대는 수능 95%와 면접 5%를 합산해 학생을 선발한다. 연세대는 2단계에서 면접 10%를 반영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가톨릭관동대·가톨릭대·경북대·고려대(일반전형)·서울대·성균관대·울산대·인제대가 면접을 적격·부적격 판단 기준으로 활용한다. 경북대는 종전까진 정시에서 인·적성 면접을 실시하지 않다가 올해 도입했다.

과탐Ⅱ 가산점 부여 대학도

정시에선 본인의 수능 영역별 취득 점수에 따라 유불리가 크게 갈린다. 대학별 수능 반영 방법을 꼭 확인해야 하는 이유다. 성균관대는 가산점으로만 적용하던 영어를 이번부터 10% 반영하기로 했다. 이화여대는 인문계열 학생이 지원하는 유형을 별도로 두고 있는데 여기에서 수학 반영 비율을 기존 25%에서 30%로 높였다. 단국대(천안)는 수능 반영 비율은 전년과 같지만, 영어 등급별 확산점수를 조정했다. 1·2등급 간 점수 차이를 30점에서 15점으로 줄인 것이다.

수능 탐구영역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곳도 있다. 가톨릭관동대(화Ⅱ/생Ⅱ), 경상국립대, 단국대(천안), 동국대(WISE), 서울대가 이에 해당한다. 특히 서울대의 경우 올해 과탐Ⅱ 필수 응시를 폐지한 대신 가산점(Ⅰ+Ⅱ 선택 시 3점, Ⅱ+Ⅱ 선택 시 5점)을 부여한다. 반면 한양대는 올해 정시에서 과탐Ⅱ 가산점을 폐지했다.

우연철 소장은 “의대 선호도가 높아지는 데 비해 정시 선발인원은 소폭 감소했다”며 “이 때문에 올해 의대 입시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소수점 차이로 당락이 좌우될 만큼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라 여러 변수를 꼼꼼하게 따져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24학년도 의예과 정시모집 전형방법(자료: 진학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