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시민단체 "삼성이 노조 설립 방해…인권위 실태 조사하라"

박순엽 기자I 2019.07.08 14:16:12

60여 개 시민단체, 8일 국가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 열어
삼성 해고 노동자 지난달 10일부터 강남역서 고공 농성 벌여
시민단체 "인권침해 없도록 제도 개선해야" 진정서 제출

반도체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센터 등 종교·시민단체가 8일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만들 권리를 행사했다는 이유로 기업 측에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국가인권위원회가 철저히 조사하고 제도 개선을 권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진=박순엽 기자)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종교·시민단체들이 약 한 달째 이어지고 있는 삼성 해고 노동자의 강남역 사거리 고공 농성에 대한 우려를 표하면서 아울러 국가인권위원회에 노조 설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권침해 등에 대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반도체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반올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인권센터 등 60여 개 종교·시민단체는 8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거 삼성 노조 설립과 운영 과정에서 기업과 국가 공권력이 결탁해 폭력, 인권침해 등이 벌어졌고 이러한 일은 현재도 일어나고 있다”며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만들 권리를 행사했다는 이유로 기업 측에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국가인권위원회가 철저히 조사하고 제도 개선을 권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종교·시민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29일째 고공 농성을 이어가고 있는 삼성 해고 노동자 김용희(59)씨 건강 상태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삼성해고자복직투쟁위원회(해복투) 소속 해고 노동자 김씨는 지난달 10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강남역 사거리 교통 CCTV 철탑 위에 올라가 고공 농성을 시작했다. 김씨는 “경남지역 삼성 노조 설립위원장으로 추대돼 활동했다는 이유로 삼성 측으로부터 부당해고 당했다”며 “정년인 오는 10일 전까지 원직 복직과 삼성으로부터 사과 등 명예 회복을 촉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고공 농성보다 먼저 시작한 단식투쟁이 36일째에 접어들며 김씨 건강 상태는 최근 급격히 나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반올림 등은 이날 “삼성이 사법기관과 사법부 등과 결탁해 김씨 등 노조 관련자들을 부당하게 해고했다”면서 “김씨 등은 삼성으로부터 단 한 마디 사과를 받지도 못했고 어떠한 형태의 구제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김씨와 같은 삼성 해고 노동자인 이재용씨도 “당시 노조를 설립한다는 이유만으로 자본과 정부가 결탁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등 인권 유린을 했다”며 “삼성의 무노조 경영 방침 때문에 우리는 피해자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종란 반올림 상임활동가는 “오래된 과거의 일이라고 문제를 제기할 수 없다면 이러한 일은 되풀이될 것”이라며 “과거 문제에 대한 재발방지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삼성의 인권침해 만행은 현재로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활동가는 “노조 설립·운영 과정에서 인권침해가 더는 발생하지 않도록 국가인권위원회가 관련 내용을 철저하게 조사하고 제도 개선 권고를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또 “국외에 진출한 삼성 현지 공장의 노동 탄압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나현필 국제민주연대 사무국장은 “아시아 지역 노동조합과 시민단체에선 삼성을 노동권을 제약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선포하고 항의하고 있다”며 “삼성 반 노조 행태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적극적으로 말하지 않는다면 외국 노동자들의 인권도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올림 등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노조 설립 과정에서 벌어진 삼성의 인권침해에 대한 실태조사와 제도 개선 권고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전달했다.

정년 전 복직을 요구하며 서울 강남역 교통 폐쇄회로(CC)TV 철탑에 올라간 삼성 해고노동자 김용희 씨의 농성이 한 달 가까이 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