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KTX 세종역 신설 움직임, 충청권 메가시티 좌초 뇌관될까?

박진환 기자I 2022.11.02 15:33:35

충청권4개시·도, 특별지자체 설립 위한 합동추진단 구성중
인구 550만명의 초광역 경제권·교통망 구축 수도권에 대항
세종시, KTX 세종역 신설 재추진… 충북·충남도 등과 마찰
시·도간 통합난제에 KTX역사문제로 충청권 공조균열 우려

8월 29일 세종지방자치회관 2층 대회의실에서 ‘제31회 충청권 행정협의회’가 열린 가운데 최민호 세종시장(가운데 오른쪽)과 이장우 대전시장(오른쪽), 김영환 충북지사, 김태흠 충남지사(왼쪽)가 회의가 끝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세종시 제공)


[세종=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충청권 4개 시·도가 광역경제권(메가시티) 구축에 나선 가운데 KTX 세종역 설치를 둘러싼 논란이 향후 추진과정에서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선8기 출범 후 세종시가 KTX 세종역을 강하게 추진하면서 KTX 오송역과 공주역 활성화를 도모 중인 충북도와 충남도가 당장 이에 반발하는 등 충청권 공조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KTX오송역 전경. (사진=코레일 제공)


대전시와 세종시, 충남도, 충북도에 따르면 충청권 4개 시·도는 내년 1월 출범을 목표로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을 위한 합동추진단을 구성 중이다. 세종시에 설치되는 합동추진단은 1국·3개과로 꾸려지며, 충청권 특별지자체 설립을 위해 구성된 한시조직이다. 행정안전부는 1년 한시 조직으로 승인했으며, 4개 시·도에서 35~40명의 공무원을 파견, 운영될 예정이다. 충청권 특별지자체는 빠르면 2024년 설립한다는 목표지만 구체적인 세부 일정은 아직 미정이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갈수록 비대해지고 있는 수도권의 일극체제를 벗어나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지목받고 있다. 100만∼200만명 단위의 지자체간 경쟁 구조는 중복·과잉 투자로 효율성이 떨어져 인구 550만명의 메가시티를 조성, 규모의 경제가 가능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최근 세종시가 KTX 세종역 신설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충청권 공조가 흔들리고 있다. 현재 세종시는 2030년 운행을 목표로 KTX 세종역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전국 17개 시·도 중 KTX 고속열차역이 없는 유일한 지역으로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 등의 대외적인 여건 변화를 KTX 세종역 신설의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KTX 세종역 신설을 위한 타당성 검토 용역을 추진하기로 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지난달 20일 열린 국회 행안위 국정감사장에서 “국회 세종의사당, 대통령 제2집무실, 스마트국가산업단지, 신규조성 공공택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등 여건이 변화된 만큼 KTX 세종역 신설이 필요하다”며 “국토부가 충북 등 타 지자체와의 갈등 선결을 요구했지만 국책사업에 따른 KTX 세종역 실치 필요성에는 원희룡 국토부 장관도 공감을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KTX 세종역 설치는 정부와 충북 등 인근 지자체와 설득과 협의를 통해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충북은 전국 10대 역으로 발돋움한 KTX 오송역의 지속적인 성장을 원하고 있고, 충남은 전국 최저 수준의 KTX 공주역의 이용객 늘리기에 안감힘을 쓰고 있는 상황이다. 충북도의회는 지난 7월 ‘KTX 세종역 설치 반대’ 결의안을 채택했고, 공주시의회 의원들도 KTX 세종역 신설을 반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환 충북지사도 “세종시가 재추진하는 KTX 세종역 신설은 불가하고, 불필요하다”고 전제한 뒤 “세종과 충북 오송을 잇는 광역철도 사업에 9000억원 정도가 소요되는데 KTX 세종역 신설을 또 추지는 것은 국가적 차원에서 중복투자 및 예산 낭비”라며 KTX 세종역 신설 움직임에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다. 이에 대해 충청권의 한 광역자치단체 관계자는 “수도권이 갈수록 비대해지는 반면 지역은 소멸될 것이라는 위기감에 메가시티 구축을 추진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광역 시·도가 통합할 경우 조직과 인력을 줄여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에 봉착한다는 점에서 이 사업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며 “충청권 4개 시·도가 현재는 공조한다는 큰 틀에서는 합의하고 있지만 KTX 세종역 신설 움직임이 자칫 이 공조의 틀을 깨는 뇌관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