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50년 전 경복궁 화장실, 현대식 정화시설로 악취 해결했다

김은비 기자I 2021.07.08 13:36:26

경복궁 동궁 남쪽서 화상실 유구 발견
조선시대 궁궐서 화장실 유구 발견은 처음
궁녀·군인 등 사용하던 화장실 추정
"유럽·일본 19세기에 정화시설 정착...세계적으로도 빨라"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조선시대 왕과 왕족이 살던 내전에는 화장실이 없었다. 왕은 나인들이 들고 다니는 ‘매화틀’이라는 이동식 변기에 용무를 해결했다. 그렇다면 궁궐에서 일했던 수많은 궁녀·군인 등은 어떻게 화장실을 이용했을까. 최근 의문을 해결해줄 화장실 유구가 경복궁에서 확인됐다. 약 150년 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화장실로, 조선시대 궁궐 내부에서 화장실 유구가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눈길을 끄는 건 화장실 유구가 현대와 비슷한 정화시설을 갖췄다는 사실이다. 해당 시기에 이 같은 정화시설을 갖춘 화장실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발달 된 기술이기에 더욱 관심이 주목이 된다.

경복궁 동궁 권역에서 확인된 화장실 유적(사진=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8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경복궁 동궁 남쪽 지역 화장실 유구 발굴 현장을 공개했다. 발굴된 화장실은 길이 10.4m, 너비 1.4m, 높이 1.8m의 좁고 긴 네모꼴 석조로 된 구덩이 형태다. 오동선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연구사는 “1888∼1890년에 전각 위치를 그린 ‘경복궁배치도’와 1904년 경복궁 전각 칸수와 용도를 설명한 ‘궁궐지’ 등 문헌과 토양에서 나온 기생충 알, 오이·가지·들깨 씨앗을 근거로 유적을 화장실로 결론지었다”고 설명했다. 또 문헌기록과 토양층의 절대연대분석 등에 따르면 화장실은 고종(재위 1863∼1907)이 경복궁을 중건할때인 1868년 만들어져 약 20여년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사람 한명의 키를 훌쩍 넘는 높이의 구덩이에는 정화시설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입수구와 물이 나가는 출수구 2개가 있다. 물이 자연스럽게 흐를수 있도록 입수구 높이는 출수구보다 80㎝가량 낮다. 유입된 물은 화장실에 있는 배변과 섞이면서 배변의 발효를 촉진시켜 부피가 큰 찌꺼기가 바닥에 가라앉도록 돼 있다. 오 연구관은 “이같은 정화 시설은 분뇨 침적물에 물 유입, 분뇨 발효와 침전, 오수와 정화수 배출 순으로 이뤄지는 현대 정화조 구조와 유사하다”며 “발효된 분뇨는 악취가 적고, 변을 압착시켜 이후에 분뇨 운반처리 횟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정화시설은 백제 왕궁시설인 익산 왕궁리 유적에서도 확인된 바 있으나, 이처럼 분변이 잘 발효될 수 있도록 한 정화시설은 경복궁 화장실이 유일하다. 이장훈 한국생활악취연구소 소장은 “150년 전 이같은 분뇨 정화시설은 우리나라에만 있었으며, 유럽과 일본의 경우는 분뇨를 포함한 모든 생활하수를 함께 처리하는 시설이 19세기 말에 들어서야 정착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화장실을 주로 이용했던 사람들은 궁궐의 하급 관리와 궁녀, 궁을 지키는 군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왕은 휴대용 변기인 ‘매화틀’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문헌자료에 따르면 화장실 규모는 4~5칸으로 한번에 최대 10명까지 사용할 수 있었던 대규모 화장실이다. 오 연구관은 “하루에 최대 150여명이 사용할 수 있는 시설로 물의 유입과 배수 시설이 없는 화장실에 비하면 약 5배 정도 많은 것”이라고 했다.

경복궁에서 화장실 유구가 처음으로 발견된 이유에 대해 양숙자 국립강화문하재연구소 학예실장은 “경복궁 화장실은 상주 인원이 많은 경회루 남쪽 궐내각사, 동궁권역 등 궁궐의 중심지가 아닌 주변에 많이 배치돼 있다”며 “경복궁 조사를 시작한 후 지난 30년간 조사가 궁궐 중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주변부 발굴조사는 이번이 처음”라고 설명했다. 문헌에 따르면 경복궁 화장실은 최대 75.5칸으로 경회로 남쪽 궐내각사와 동궁 권역에 몰려 있었다. 향후 궁궐 주변부에 대한 조사를 확대할 경우 더 많은 화장실 유물이 발견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양 학예실장은 “이번 경복궁 화장실 유구는 그동안 관심이 적었던 조선시대 궁궐의 생활사 복원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조선시대의 발달된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식생활 습관까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발굴 성과에 대해 말했다.

경복궁 동궁 권역 화장실 복원도(사진=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