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심상정 "은행 채용비리 해명은 거짓말..자율 침해 주장 황당"

전상희 기자I 2018.02.06 13:50:14

심상정 의원, KEB하나·KB국민銀 소명자료 공개
하나銀, 서울대출신 점수조정에 “서울대 합격자가 한명도 없어서” 해명
심 의원 “공개 채용 기준 내놓고 ‘관행’ 운운…지원자 배신”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에서 ‘금융권 채용비리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고 은행들의 채용비리 해명에 반박하고 있다. (사진=심상정 의원실)
[이데일리 전상희 기자] 심상정 의원이 채용비리 의혹을 부인하고 있는 KEB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의 해명 자료를 공개하며 재반박에 나섰다. “서류전형의 변별력이 부족해 영업점이나 고객, 거래처로부터 인재를 추천받을 수 있는 제도를 운영했다”거나 “서울대 출신 합격자가 없어 우대를 적용했다”는 등의 은행 측 해명에 오히려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에서 ‘금융권 채용비리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고 KEB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이 의원실에 전한 해명자료를 공개했다. KEB하나은행 고위관계자는 지난 2일 오후 심상정 의원실을 방문해 은행 채용절차 관련 자료 등의 소명 자료를 제출했으며 KB국민은행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전 간담회 직전 의원실을 찾아 구두로 해명을 전했다. 이들 은행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채용비리 정황이 확인돼 현재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의원실에 따르면 KEB하나은행은 금감원 측이 제기한 55명의 VIP 리스트 의혹에 대해 행내 우수인재 추천을 통한 명단이라고 설명했다. KEB하나은행은 채용 과정에서 외부인은 확인이 불가능한 행내 게시판에 ‘우수인재 추천 및 전파 장려’라는 공지문을 게재해 전국 영업점, 고객, 거래처로부터 지원자를 추천받았다. 해당 추천을 받은 지원자 전원에게는 서류 통과의 기회를 부여했다.

은행 측은 “서류 전형의 객관성과 변별력이 부족하고, 1만명 이상 규모 지원자의 자기소개서에 대한 세밀한 평가가 불가능한 한계를 감안해 우수 인재 추천제를 실시했다”며 “추천자가 합격 여부 등을 문의할 때 응대용으로 실무담당자가 정리한 내용을 금감원에서 추천리스트로 분류한 것. 리스트가 서류전형 이외 전형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에 심 의원은 “채용비리는 공개 채용 과정에서의 비리를 지적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국민들에게 밝힌 공채 기준과 다르게 채용을 했기 때문에 그 약속을 믿고 응시한 수많은 지원자들을 배신하고 계약을 파기한 것이다. 신뢰를 생명으로 하는 금융업으로서 자격없는 짓”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소위 SKY출신 지원자 7명의 면접 점수를 조정해 불합격권에서 합격권으로 이동시킨 사례에 대해서는 “입점 거래 대학 출신 지원자 우대”라고 해명했다. 이에 심 의원은 “면접 점수가 올라간 연세대는 입점 대학이 아니며 면접 점수가 하향 조정된 명지대는 하나은행의 주거래 대학”이라고 재반박했다. 이어 “하나은행은 우수인재 채용 측면이라며 서울대 출신 합격자가 한 명도 없자 서울대 출신 지원자 면접 점수를 올렸다고 해명했다”고 꼬집었다.

특혜 채용 의혹을 받고 있는 KB국민은행은 “정상적인 기준과 절차에 따라 채용했다. 채용 전형 매단계마다 제로베이스에서 점수평가가 시작된다”고 해명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의 종손녀가 서류 전형에서 840명 중 813등, 실무면접에서 300명 중 273 등을 받았으나 임직원 면접 시 최고 등급을 받아 최종합격했다며 특혜 채용 정황이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심 의원은 “앞선 전형의 점수가 반영되지 않는 건 국민은행이 유지하는 관행으로 상식적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며 “해당 기준을 공개채용 공고에서 지원자들에게 알리지 않았다. 임직원 면접 시 (VIP) 리스트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최고 등급을 부여해 합격시켰다. 이러한 채용을 특혜나 비리가 아니고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심 의원은 채용비리 문제 제기가 민간 기업의 자율성을 침해한다는 반박에 “민간기업이더라도 공개채용은 수많은 지원자와의 약속이고 일종의 사회 계약이다. 공개된 기준과 다른 기준으로 채용했다는 것은 그 약속과 계약을 저버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금융기관은 국민 재산을 운용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금융의 공공성이 중요하다. 은행은 민간기업이라 하더라도 국민의 자산을 다루는 국가의 기간산업”이라며 “역사적으로 보면 대부분 은행들이 국민이 지불한 대규모 공적자금 투자를 통해서 회생했다. 아쉬울 때는 국민의 지원과 공적자금을 요청하고, 사회적 가치를 위반하거나 사회적 약속을 위반하거나 책임을 다하지 못할 때는 불개입을 요청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