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국 활성탄 정수장 7곳 유충 발견…"인천외엔 가정집 안가"(종합)

최정훈 기자I 2020.07.21 12:43:51

전국 정수장 49개소 긴급점검 결과…전국 7곳 정수장서 유충 발견
인천 외에는 활성탄지에서만 유충 발견…“가정집까지 흘러가지 않아”
공촌·부평정수장 외 서울·부산 등 신고는 아파트 저수조·가정집 배수로 추정
인천은 합동정밀조사단 조사 착수…“책임소재, 관리부실 등 규명”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인천 지역의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이후 전국을 긴급 점검한 결과 7곳의 고도처리 정수장에서 유충이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인천 외에 다른 지역에서는 물을 지역 주민이 직접 사용하는 단계까지 유충이 흘러들어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이 2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수돗물 안전관리’ 긴급점검 등과 관련해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전국 7곳 활성탄 정수장서 유충 발견…“인천 외엔 사용자까지 안 가”

환경부는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수돗물 유충의 원인으로 지목된 활성탄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개소에 대해 긴급점검을 실시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점검 결과 문제가 된 인천 공촌·부평정수장을 포함한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이 소량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정수장은 △인천 부평 △경기 화성 △김해 삼계 △양산 범어 △울산 회야 △의령 화정정수장이다. 또 12개 정수장은 방충망 미설치 등 운영상 문제가 지적됐다.

다만 인천 이외의 지역은 활성탄지 표층에서 유충이 발견됐지만 정수장 후단 배수지·수용가에서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 유충 발견 이후 즉시 활성탄 교체 또는 세척·오존 주입률 상향 등의 조처를 하고 있다. 활성탄지 외에도 관로 말단 및 배수지에도 거름망을 설치해 확인했지만 현재까지 유충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환경부는 인천 수돗물 유충의 발생 원인을 정수장 내 활성탄지에서 부화된 유충이 걸러지지 않고 정수장, 배수지를 거쳐 가정까지 공급된 것으로 설명했다. 신진수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인천과 같은 개방형 정수장이라도 여과지 부분만 개방됐고 건물 안에 다 들어가 있다”며 “미세방충망을 설치하고 철저하게 건물을 관리하면 날벌레 유입이 안 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에 인천 공촌의 개방형 정수장도 날벌레 등을 막을 유입방지시설이 미흡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촌과 부평정수장 계통에서의 유충 추가 발생은 차단됐고 아직 급·배수 관로 상에 남아 있는 유충만 배출되면 문제가 해소될 전망이라는 게 환경부의 설명이다. 신 국장은 “문제가 되고 있는 활성탄 여과지 처리공정을 폐쇄하고 모래 여과지를 활요한 표준처리공정으로 전환했다”며 “근원이 막혀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여과지에서 유출될 가능성은 없다”고 전했다.

15일 인천시 계양구 병방동 한 주택에서 발견된 유충이 물병에 담겨 있다.(사진=연합뉴스)
“서울·부산 등 인천 외 유출 신고는 아파트 저수조·배수로 문제 추정”

이어 20일까지 인천 외 서울, 부산, 화성 등 다른 지역에서도 수돗물에서 벌레 유충이 발견됐다는 민원 총 19건이 보도됐다. 지자체와 환경청, 유역수도지원센터 등이 공동으로 현장 조사한 결과,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의 경우 오피스텔 욕실 바닥에서 유충이 발견됐지만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지는 않았고 배수구 등 외적 요인을 통한 발생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판단했다. 또 부산은 모기·파리 유충이 발견됐지만 조사 결과 하수구 등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고, 화성·파주 등 다른 지역 역시 정수장·배수지·저수조 등에서는 유충이 발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배수구 등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다만 유충이 발견된 7곳의 정수장 외에도 12곳의 정수장에서 방충망을 설치하지 않은 등 미흡한 사항이 발견된 만큼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날 환경부 장관 주재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과 영상회의를 개최해 창문 및 출입문의 벌레 유입차단 설비 설치, 활성탄지 주변 물 웅덩이 제거 등을 통해 유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수장의 환경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지시할 예정이다.

또 벌레를 발견 민원이 제기되면 즉시 관할 지방 환경청에 보고할 것을 요청하고, 신속한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조사 및 대응에 유역수도지원센터의 전문 인력을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주민불안 방지를 위해 각 지자체는 민원이 접수되면 발생원인 등을 분석해 홈페이지 등에 정보를 빠르게 공개하고, 여름철 벌레 등의 발생이 일상화될 수 있어 특이사항 발견하면 주민은 즉시 지자체, 환경청 등 관할 부서에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최근 인천시 등 일부 지자체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됨에 따라 20일 오전 경기도 용인시상수도사업소 용인정수장에서 관계자들이 안전한 수돗물을 위해 여과지 활성탄 검체 채취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인천 책임 소재나 관리 부실 등 합동정밀조사단이 조사할 계획

한편 가장 큰 문제가 발생한 공촌·부평정수장의 유충 발생의 원인 파악을 위해 인천시와 한강유역환경청이 공동으로 지난 16일 인천 수돗물 유충 관련 전문가 합동정밀조사단을 구성해 조사에 나서고 있다. 환경부는 조사 결과에 맞추어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신 국장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인천의 책임 소재, 관리 부실 등 부분에 대해서는 전문가 합동정밀조사단이 꾸려져서 운영 중이기 때문에 조사 결과에 따라 조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위생상의 관리 부분에서는 깔따구 등 생물체가 고도정수처리 공정의활성탄지 유입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미세방충망, 포집기 설치, 활성탄지 방충덮개 설치 등 방충관리를 철저히 할 계획이다. 만일 시설적인 문제로 인해 유충이 유출된 것으로 최종 확인되면 전문가들과 논의해 상수도 설계 기준을 개선하고, 운영 부문에서는 고도정수처리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활성탄지의 운영관리 세부 사항을 지자체 등에 전파할 계획이다.

신 물통합정책국장은 “국민의 수돗물 불신을 해소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이번 수돗물 사태의 확산 방지 및 정상화에 정부 차원의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수돗물 유충’ 사태

- “인천 깔따구 유충, 정수장 활성탄 통해 유출” 최종 결과(속보) - 수돗물 유충 불안감 없앤다…서울시 전문가 조사반 연중 운영 - "수돗물 유충 걱정 없어" 쿠쿠, 샤워헤드 3종 출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