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동·성' 아파트값 상승률, 강남권 앞질렀다

경계영 기자I 2018.08.17 15:16:53

올해 상승률, 마포·동작·성동 14% vs 강남 11%
7주째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인근지역까지 올라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올해 비(非)강남권 가운데서도 마포와 동작, 성동(마·동·성)이 서울 아파트 매매값 오름세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 아파트값 상승률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값 상승률도 넘어섰다.

부동산114가 17일 기준 지난해 말 대비 누적 상승률을 집계한 결과, 마포가 14.30% 오르며 서울 25개구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성동 14.26% △동작 13.80% △서대문 13.14% △동대문 12.40% △관악 11.70% △중구 11.4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11.20% 오른 강남 3구보다 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역시 한 주 새 0.15% 뛰었다. 7주 연속 상승 폭을 넓힌 것은 물론, 넉 달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개발 호재가 풍부한 은평과 여의도·용산 인근에 있으면서도 상대적으로 저평가돼있는 서대문, 양천 등 비강남권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흐름이 뚜렷했다. 서대문이 0.28%로 가장 많이 올랐고 양천·도봉(0.27%), 구로(0.25%), 강서·은평(0.24%) 순으로 나타났다.

강남권에 밀집한 재건축 아파트 매매값은 0.11%로 5주째 오르긴 했지만 전주 0.18%보다 상승 폭이 둔화했다.

신도시는 서울에 접근하기 좋은 분당(0.08%), 위례(0.07%), 판교(0.06%)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경기·인천에서도 광명(0.44%), 과천(0.35%), 성남(0.08%) 등 서울과 가까우면서도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지역이 올랐다.

서울 전셋값은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양천(0.11%), 마포(0.07%), 강동(0.06%), 강남(0.04%) 등을 중심으로 0.02%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아파트 공급량이 많은 신도시와 경기·인천 아파트 전세가격은 각각 -0.01%, 0.00%로 보합권에 머물렀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매매값은 지역 내 각종 개발 호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위기”라며 “정부가 이달 말 투기지역 추가 지정과 재건축 가능연한 연장 등 추가 대책을 예고했지만 지금 분위기상 호재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흐름이 더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