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나경원 "이젠 핵무장 해야"…한동훈·원희룡·윤상현 "당장 할 수 없다"

경계영 기자I 2024.06.25 15:16:47

국민의힘 당권주자 '핵무장' 쟁점으로
나경원 "평화와 자유, 힘으로 지키는 것"
한동훈 "잠재 역량만" 윤상현 "美핵공유가 현실적"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6·25 전쟁 74주년을 맞은 25일 국민의힘 당권 레이스에서 ‘핵무장론’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먼저 화두를 던진 나경원 당대표 후보는 자체 핵무장을 주장한 반면, 원희룡·윤상현·한동훈 당대표 후보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나경원 후보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제는 우리도 핵무장을 해야 한다”며 당권 주자 가운데 가장 먼저 핵무장론을 꺼냈다. 그는 현충원 참배에서 참전용사와 만난 사실을 전하며 “평화와 자유는 말이 아닌, 힘으로 지키는 것이다. 오늘 핵무장론을 꺼낸 이유도 거기에 있다”고 SNS에 추가로 글을 썼다.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나경원 의원이 25일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의원총회를 찾아 시의원들과 인사를 나눈 후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한동훈(오른쪽)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후보 당 대표 후보 접수를 하기 전 실무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나 의원은 이날 서울 용산구에서 열린 보수 진영 외곽 조직인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새미준) 세미나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될 수밖에 없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는 경우 미국의 (대북) 태도도 바뀔 수밖에 없다”며 “이제 핵무장을 할 때”라고 주장했다.

이와 달리 한동훈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당대표 후보로 등록한 후 기자들과 만나 나 후보의 자체 핵무장 주장에 대해 “국제사회에서 큰 제재를 받고 국민이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을 것이기에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윤석열 정부는 이전 정부와 차원이 다른 수준의 한미관계를 복원해 핵동맹 수준의 새로운 관계를 재정립했고 이런 정부 입장을 지지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한 후보는 “국제정세는 늘 변할 수 있다”며 “일본처럼 언제든 핵무장 할 수 있는 잠재적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윤상현 후보도 이날 국회에서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와의 면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지금 당장 핵무장은 국제적으로, 경제적으로 외교적 고립을 불러일으킬 뿐이어서 힘들다”며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지키는 한도 내에서 한반도 영해 바깥에 전략자산을 갖다놓고 한미간 핵공유 협정을 맺는 것이 더 현실적”이라고 봤다.

원희룡 후보는 자신의 SNS에 “자체 핵무장을 주장하는 심정엔 충분히 동의하지만 독자적 핵무장 추진이 말로 되는 것도 아니고 당장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원 후보는 “지난해 한미 양국은 워싱턴 선언을 통해 ‘핵우산 강화’ 성과를 얻었다”며 “지금은, 핵무장에 앞서, 워싱턴 선언의 실효성 확보를 통해 대북 핵억제력을 강화할 때”라고 진단했다.

윤상현(왼쪽)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를 만나 화성 화재 희생자 관련 지원대책 및 수습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5일 오전 경북도청을 방문해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면담 중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