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GPT가 정보 유출하고 저작권 침해할라…"AI 시대 보안도 진화해야"

함정선 기자I 2023.04.19 15:23:17

파수, AI 관련 보안 시장 적극 공략 밝혀
AI 등장으로 효율 늘었지만 정보유출·저작권 침해 위험 커져
DRM 등 고도화해 AI 통한 보안 위협 대비해야

조규곤 파수 대표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보안업계가 인공지능(AI) 관련 시장 공략을 가속하고 있다. 챗GPT 등장으로 생성형AI 서비스가 확산하고, 기업에서도 AI 도입을 확대하면서 보안 위협도 커지고 있어서다. 특히 AI는 저작권 문제를 비롯해 정보 유출 등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위험부담이 생겨나고 있어 AI에 대응할 고도화한 보안 솔루션 도입이 필수라는 지적이다.

국내 데이터 보안 플랫폼 전문 기업인 파수는 이 같은 AI 관련 보안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겠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조규곤 대표는 “챗GPT가 등장하고 나서 기업들은 AI를 어떤 방식으로든 기업의 업무나 효율 향상에 활용하려고 한다”며 “그러나 시간과 인력을 줄이는 등 장점만큼 사내 정보 유출이나 저작권 위반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리스크(위험) 역시 커진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모두 신뢰할 수 없고, AI가 어떤 정보를 기업 외부로 내보낼지 알 수 없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AI가 주는 정보 중에는 오류도 있을 수 있는데다 내가 입력한 정보 등이 유출될 위험도 있다”며 “문제는 단순히 정보가 그대로 유출되는 것뿐만 아니라 다시 생성형AI를 거치면서 가공된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이나 개인의 고유의 정보가 유출될 뿐 아니라 생성형AI 서비스의 재가공을 거치면서 유출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게 되거나 저작권마저 해칠 수 있다는 얘기다.

조 대표는 “지금까지는 디지털저작권관리(DRM)라는 기술을 써서 이 같은 문제를 통제했지만 AI가 등장하면서 어려워졌다”며 “문제는 저작권 관련 법이 바뀔 때까지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파수는 기존 디지털권한관리(DRM) 솔루션을 고도화하는 방법으로 대안을 찾을 계획이다. 이전의 필터링 기술에 AI 기술까지 더해 내부 정보 등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식이다.

조 대표는 “현재 연구를 하고 있으나 쉽지는 않은 일”이라며 “각 기업의 AI 활용 방식, 활용 단계 등을 고려해 기업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겠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