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하루 걸리던 코로나19 확진자 동선파악, 10분 이내로”

김미영 기자I 2020.03.25 11:00:00

정부, 26일부터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운영
“개인정보 취득 절차 엄격, 대상도 최소화…
코로나19 종식 후 파기”

[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국토교통부는 오는 26일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정식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지난 16일 시범운영을 시작해 시스템 운영체계 및 개인정보 관리 절차 등을 보완했다. 26일부터는 국토부에서 질병관리본부로 시스템을 이관하고 경찰청, 여신금융협회, 3개 통신사, 22개 신용카드사 간 협력체계를 구성해 본격 운영한다.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은 감염병예방법에 따른 역학조사 절차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대규모 도시데이터를 수집·처리하는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이다. 확진자 면접조사 결과를 보완, 빅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이 가능해져 확진자 이동동선과 시간대별 체류지점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대규모 발병지역을 분석해 지역 내 감염원 파악 등 다양한 통계분석도 가능해진다.

지금까진 28개 기관 간 공문 및 유선연락 등의 과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뤄졌지만 스마트시티 기술 시스템 도입으로 신속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평균 하루 이상이 걸린 이동동선 도출 등 역학조사 분석 시간이 10분 이내로 줄어들 것이란 게 국토부 설명이다.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은 개인정보를 활용하면서도 정보취득 대상을 최소화한다. 취득 절차도 엄격하게 운영할 방침이다. 역학조사관이 추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확진자 등에 한해서만 관계기관에게 개인정보 제공을 요청하며, 위치정보의 경우 경찰청의 확인 및 승인절차를 추가적으로 거치게 된다. 시스템은 감염병 위기대응 단계를 고려해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코로나19 상황이 종료되는 즉시 개인정보는 파기할 예정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