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부동산PF 지원펀드에 5대 금융지주도 참여한다

서대웅 기자I 2023.09.12 16:55:43

금융위, 부동산PF 점검회의
금융지주사 참여...LP 등 거론
최대 2조 추가 지원 나설 듯
민간 주도 사업장 재편 본격화

[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정부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장 정상화를 지원하기 위한 펀드 조성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 현재 1조원 규모로 조성한 상태인데 금융지주사들이 추가로 참여한다. 펀드 조성 규모가 최대 3조원 규모로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민간 주도의 PF 사업장 재편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김소영(가운데)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 관계부처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 효과를 높이기 위한 추가방안을 관계부처·기관 및 금융업권과 긴밀히 협의해 이달 말 정부합동 주택공급확대 관련 대책에 포함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원펀드는 잠시 어려워진 PF 채권을 인수해 재무구조 개편, 사업비 자금대여 등을 통해 사업장 정상화를 유도하기 위해 조성한 펀드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5000억원을 투자하고 민간 위탁 운용사 5곳이 각 1000억원씩 모집해 총 1조원 규모로 조성한 상태다.

정부는 PF사업장의 빠른 정상화를 위해 지원펀드 조성 규모를 확대키로 했다. 이를 위해 5대 금융지주사(KB·신한·하나·우리·농협금융)들이 지원단으로 나선다. 현 지원펀드의 재무적 투자자(LP)로 출자하거나 별도의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 등을 논의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우량 사업장에 한해 자율적인 금융지원 대책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지주사들이 참여하면 지원펀드에만 추가로 최대 2조원 규모의 추가 지원 여력이 생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권의 PF대출 연체율은 지난 6월 말 기준 2.17%다. PF대출잔액 131조6000억원 가운데 2조8600억원이 연체된 대출이다. 2조원 규모의 지원펀드가 추가로 조성되면 민간 주도의 PF 사업장 재편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부위원장은 “정부는 PF 사업 정상화에 필요한 자금이 적재적소에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대주단과 시행사는 냉철한 사업성 평가에 기반한 사업장의 사업성 개선 노력을 해달라”고 했다.

PF대주단 협약은 8월 말 현재 187개 사업장에 적용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152개 사업장에서 기한이익 부활, 신규자금 지원, 이자유예, 만기연장이 이뤄졌다. 사업성이 없거나 공동 손실분담이 부족한 사업장 23곳은 공동관리가 부결됐다. 나머지는 경·공매 등을 통한 사업장 정리가 진행됐다.진행단계별로는 브리지론이 144개로 전체 협약의 77%를 차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